매일신문

100만원 벌면 18만원 빚 갚는 데 써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 대구경북 18%로 전국서 가장 높아

대구경북의 가계부실 위험도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역의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는데다 부실위험가구의 비중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처럼 지역경제를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20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지난해(10월 기준) 지역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년대비 8조1천억원 늘어난 65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증가폭은 14.1%로 전국(6.2%)에서 가장 가팔랐다. 이는 광주'전남(7.6%), 부산'경남(6.9%), 서울(6.9%), 대전'충남(6.6%), 인천'경기(2.9%) 등 다른 지역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증가율(32.4%)도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미 부실위험가구 비중은 전국 최고로 나타났다. 소득과 자산을 고려한 가계부실 위험지수가 100이 넘는 위험가구가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1.8%로 전국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천'경기(5.8%)보다는 2배가량, 전국 평균(8.8%)보다도 3%가량 높았다.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 역시 18%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100만원을 벌 경우 18만원을 빚을 갚는 데 사용한다는 의미다. 특히 소득이 적은 저소득층의 경우 연소득의 88%를 원리금상환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금융자산 대비 총부채비율이 51% 정도로 실물자산 매각 없이도 부채상환이 가능한 상태였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역 가구의 가계부채 부담이 비교적 높고 특히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지나치게 커 부동산 경기 침체와 금리 변동에 매우 취약한 구조"라며 "지역의 경우 집단대출이 많아 가계대출 증가의 한 원인이 됐지만 부동산 거품이 빠질 경우 자산이 줄고 부채는 늘어 위험가구가 크게 늘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