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설 명절 연휴 기간 병원 응급실에는 감기환자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은 설 당일과 다음날이 가장 붐볐다.
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5년 설 명절 주요 대학병원 및 대형병원 응급실 144곳의 내원환자는 13만6천 명으로, 하루 평균 2만7천 명이 응급실을 찾았다. 질환별로는 감기(4천12명)가 가장 많았고 장염(3천220명), 폐렴(2천181명) 등의 순이었다. 평상시에 비해 감기는 3.9배, 장염은 2.5배, 발열은 2.8배 증가했다. 복지부는 "폐렴은 평소(686명)에 비해 연휴 환자가 3.2배"라며 "명절 준비, 장시간 운전 등 체력이 저하돼 감기가 폐렴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응급실 환자는 설 당일이 3만2천 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 날(3만1천 명), 전날(2만7천 명) 등이었다. 이는 평일(1만1천 명)의 2.9배, 주말(1만9천 명)의 1.7배에 달했다. 연휴 기간 교통사고, 미끄러짐, 화상 등 사고로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많았다.
작년 설 연휴 기간 사고 환자는 평균 5천247명으로 평상시(3천44명)의 1.7배였다. 화상 환자는 평소의 3.0배, 미끄러짐은 1.7배, 교통사고는 1.4배여서 주의가 필요했다. 중증 응급환자의 경우 응급실 도착시간이 평소 3.7시간에서 연휴 기간 4.8시간으로 증가한 반면 체류시간은 3.5시간에서 3.3시간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감기 환자는 명절 응급실에서 평균 1시간 27분을 머물고 진료비도 비싸다"며 "명절에 문을 연 병'의원이나 보건소 등을 확인하고 이용하라"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는 설 연휴 기간 불편을 줄이고자 의료기관, 약국과 협력해 당직 의료기관 및 휴일 지킴이 약국을 지정'운영한다고 밝혔다. 전국 541개 응급의료기관, 응급의료시설은 평소처럼 24시간 운영한다. 보건소를 비롯한 국공립 의료기관은 대다수 민간 의료기관이 문을 닫는 8, 9일에도 진료한다. 연휴에 문을 연 병'의원, 약국 정보는 보건복지콜센터(국번 없이 129)나 119구급상황관리센터(국번 없이 119), 응급의료정보제공(www.e-gen.or.kr) 등에서 알 수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