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주식시장의 폭락으로 닛케이평균주가 산출 대상(225개 종목) 주식의 40%는 2013년 4월 일본은행의 금융완화 조치 이전 수준의 주가로 돌아갔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4일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세계 경제 견인 역할을 하는 미국 경기 위축에 대한 우려가 강해지면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여기는 금과 일본 엔화 매수에 나서면서 엔고를 부채질하는 동시에 주식시장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일본 주가 폭락의 가장 큰 요인은 중국 주가의 급락이다. 글로벌 투자가들이 위험자산인 주식에서 자금을 빼내면서 연초부터 미국은 8%, 유럽은 15%나 주가가 하락했다.
닛케이평균주가도 연초에 비해 21%나 하락했다. 22%나 폭락한 중국 상하이주와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새해 들어 일본의 주가 폭락 비율은 같은 기간 40%나 폭락했던 2008년 리먼 사태 당시에 비해서는 낮았지만, 2000년 IT(정보기술) 거품이 무너진 이후에 필적하는 수준이다.
반면 안전 자산을 대표하는 금의 가격은 올 들어 17% 상승했고, 역시 통화 가운데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엔화도 투자자들 사이에 인기를 끌며 달러 대비 엔화가치는 연초에 비해 8%나 올랐다.
이는 달러, 위안화 등 주요국 통화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일본 내에서는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지난달 말 마이너스 금리 도입 방침을 밝혔지만, 시장 불안을 진정시키기는커녕 오히려 양적 완화의 한계를 보여준 것 아니냐는 비판론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다만 일본 주식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닛케이 평균 기준 0.99배로 약 3년 만에 1배가 깨지는 등 저평가된 만큼 이제 바닥을 쳤다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춘제(春節'중국의 설) 연휴 이후 장이 다시 열리는 이번 주 중국 상하이 주식시장의 향배가 일본 주식시장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