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의 대구 배치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사드 배치 지역이 외교적 이해관계로 대구경북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은 여전히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15일 대구를 찾은 김종대 정의당 국방개혁기획단장은 "현재 정부가 배치 지역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고, 주변국을 고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쳤지만 사실상 중국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평택과 군산이 아닌 대구나 경북 칠곡이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구와 왜관 등 현재 주한미군 기지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계획은 공간 부족으로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 단장은 "사드가 배치되면 사드 포대 전방 3.5㎞에는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며, 반경 5.5㎞ 면적이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도시 개발이 전면 제한된다. 또 5.5㎞ 바깥이라도 항공기 관제와 항로의 전면적인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정작 필요한 것은 배치 지역 논의보다 '사드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라고 꼬집었다. 김 단장은 "부지 선정 논란에 함몰돼 국민들이 정작 필요한 사드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며 "사드 배치 문제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 군사적 실효성, 사회'경제적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단장은 "북한의 미사일 체계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가 미사일방어(MD) 개념을 미리 확정해 버리면 북한은 언제든지 우리의 방어 능력 밖에서 미사일 위협을 가할 수 있다. 군사전략이란 유연한 것인데 우리가 경직된 미사일방어 개념에 집착해 배치 지역에 대한 논란만 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