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동乙 동촌·지저동→동甲…북乙 복현 1·2, 검단동→북甲

경북 예상대로 지역구 2석 축소…선거구 획정안 이변 없이 마무리

4·13총선에서 경북은 예상대로 선거구 2개가 줄어든다. 19대 때 15개였던 경북 선거구는 상주와 군위'의성'청송이 합쳐지고, 영주와 문경'예천이 통폐합 돼 1개 선거구가 된다. 또 인구하한에 미달한 영천은 상한을 초과한 경산'청도에서 청도를 떼와 붙이는 것으로 조정돼 20대 때는 13개 선거구가 됐다.

선거구획정위는 28일 이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국회의 법 개정이 지연되면서 법률이 아닌 정치권이 합의한 획정기준을 적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나마도 충분한 논의 시간을 보장받지 못했다"며 이번 획정안에 미흡한 요소가 있음을 시인했다. 특히 "선거를 불과 40여 일 앞두고 있다는 절박감과 자칫 대폭적인 선거구 변경이 야기할 수 있는 혼란을 우려해 기존의 일부 불합리한 선거구가 있더라도 조정하지 못한 아쉬움도 있다"고 밝혔다.

혼란을 최소화하려 가급적 손을 덜 댔다는 게 획정위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경북에선 영주, 문경'예천, 상주, 군위'의성'청송, 영천이 인구하한 14만 명에 미달하고, 경산'청도는 상한이 28만 명을 초과해 조정대상이었다. 즉 경북의 통폐합된 선거구는 경계가 맞닿아 있다는 점. 또 인구 상'하한을 만족시킨 기존 선거구와의 통폐합 시 혼란 우려 등이 고려돼 획정됐다는 분석이다.

대구의 선거구 총수는 변동이 없었지만 4개 선거구의 경계조정이 이뤄졌다. 주고받은 '동'(洞)을 두고 해당 지역구 예비후보자들은 조정 지역에 대한 선거운동에 고심하고 있다.

인구상한을 초과하는 북을은 복현1'2동(지난해 10월 말 기준 인구 3만8천910명)과 검단동(8천381명)을 북갑에 넘겨주는 선에서 경계조정이 마무리됐다. 금호강을 기준으로 북쪽은 북을, 남쪽은 북갑이 됐다, 동갑은 동을로부터 동촌동(1만5천542명)과 지저동(1만936명)을 넘겨받아 독립선거구의 지위를 유지했다. 동갑 예비후보자들은 새롭게 편입된 두 개 동의 민심을 어떻게 잡느냐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경북 선거구의 2개 축소는 여야가 각각 '표밭'으로 삼는 영남과 호남에서의 지역구 감소폭을 맞추려는 정치적 이해관계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영남에선 경북이 2석이 줄었고 호남에선 전북과 전남이 각각 1석씩 감소했다.

선거구가 2개 줄어든 경북은 이번 20대 총선서 현역 의원과 예비후보자간 더욱 치열한 공천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0대 국회에서 2개의 상임위 자리도 줄어들게 돼 정치적 영향력 감소도 우려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