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더욱 커져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8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대기업의 임금 상승률이 중소기업보다 높고, 대기업의 초과'특별급여 지급이 월등히 많은 것이 원인이다. 지나친 임금 격차는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정부가 이 문제에 더 큰 관심을 쏟아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이상 대기업 상용근로자 임금은 월평균 501만6천705원으로 전년대비 3.9% 올랐다. 반면 5∼299인 규모 중소기업 상용근로자 임금은 311만283원으로 3.4% 상승에 그쳐 대기업 인상률이 2년 연속 중소기업보다 높았다. 2012, 2013년 다소 개선되던 임금 격차가 다시 커지는 것이다.
지난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임금을 대기업과 비교하면 62.0% 수준이다. IMF 외환위기 이전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은 대기업의 80% 수준이었지만 이후 10년간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게다가 2009년에 65%, 2011년 62.6%, 2015년에는 62.0%까지 매년 떨어졌다.
이같은 불균형을 그대로 둔다면 큰 사회문제로 번질 수 있다.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최근 시중은행과 금융 공기업의 사용자 측은 금융권의 높은 임금 구조를 개선하자는 목소리를 냈다. 5천만원 수준인 신입사원 연봉을 낮추고 신규 채용을 더 늘리겠다는 것이다. 한국경영자협회도 초임 3천600만원 이상인 기업에 대해 초임을 낮추고 신규 채용을 늘리는 쪽으로 임금 가이드라인을 냈다. 하지만 노조의 반발도 만만찮다.
인위적으로 어느 한쪽의 임금 수준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은 매우 복잡한 문제다. 하지만 청년 실업난이 가중하는 현실에서 현행 임금 구조를 그대로 두는 것도 문제다. 스웨덴 등 일부 국가의 경우 노사 합의로 신입사원 초임을 낮추고 청년 실업률을 떨어뜨린 전례가 있다. 우리도 기업과 노조를 중심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정부가 여건을 만들고 정책도 개발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