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3세 자녀를 둔 김모(32'여) 씨는 며칠 전 아이가 다니게 될 어린이집으로부터 받은 준비물 안내문을 보고 고민에 빠졌다. 수건, 칫솔 등 개인용품부터 크레파스, 색연필, 색종이 등 학습용품까지 어림잡아 20만원 이상 되는 비용이 들 것 같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른 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는 친구로부터 "개인 소모품 외에는 준비물이 전혀 없다"는 얘기를 듣고는 혼란스럽기까지 했다. 김 씨는 "만 3세 반 준비물에 색종이 500장이 웬 말이냐"며 "아이를 키우는 친구들 얘기로는 전부 불법이라는데 원장에게 얘기해야 할지 고민스럽다"고 했다.
어린이집 개원철을 맞아 일부 어린이집이 학부모들에게 어린이집이 마련해야 할 준비물까지 떠넘기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이런 행위가 불법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학부모들도 아이들을 맡기는 '을'의 입장이라 항의나 신고를 못 한 채 속앓이만 하고 있다.
어린이집 대부분은 수건, 칫솔, 치약 등 개인용품을 보내달라는 안내문을 보내고 있지만, 일부 어린이집은 스케치북, 색종이 등의 교구는 물론 A4용지, 화장지 등 아이들이 사용하는 것인지 의심스러운 사무용품까지 준비물로 보내라고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어린이집 준비물과 관련된 글들이 끊임없이 올라오고 있다. 자신의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 준비물 목록을 공개한 뒤 '어디까지가 불법인가'에 대해 궁금해하며 묻고 답하는 글들로 가득했다.
보건복지부 지침에 따르면 어린이집 보육료에는 교재교구비와 사무용품비 등이 이미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준비물에 스케치북이나 크레파스 등을 요구하는 것은 엄연한 불법이다. 정부는 매년 '불법 준비물 요구를 하지 마라'는 내용의 공문을 각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지만 보육 현장에서는 이런 지침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개인 소모품 외에 다른 교재'교구를 준비물로 요구하거나 비용으로 청구하는 것은 모두 불법"이라며 "적발되면 행정처분이 내려지지만 신고가 없으면 사실 확인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