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2% 안팎의 저성장 기조를 보이던 국내 광고시장이 지난해 6.2% 성장히며 반등에 성공했다. 상반기에 메르스 사태로 다소 주춤한 모습이었지만 하반기에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2일 제일기획[030000]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총 광고비는 전년도 10조996억원보다 6.2% 증가한 10조7천27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0.6% 성장에 그쳤던 2014년에 대한 기저효과와 함께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들도 전년보다 광고 마케팅에 적극적이었고 특히 게임, 부동산 중개 서비스 등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이 대거 광고비를 투입했다.
매체별로 보면 지상파TV 광고비는 2014년보다 0.2% 감소한 1조9천702억원을 기록했다.
2014년 세월호 이슈 등으로 실적이 큰 폭으로 하락한 데 이어 2015년에는 상반기 메르스 사태의 영향으로 전년 수준에 머물렀다.
케이블 TV 광고는 양질의 콘텐츠를 앞세운 종합편성채널과 대형케이블 PP(프로그램 공급업체)의 활약으로 전년보다 16.7% 성장한 1조7천768억원으로 집계됐다.
IPTV 광고는 전년보다 26% 성장한 801억원이었다. IPTV는 가입자수 확대 및 VOD 시청 증가 등에 따라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문광고 시장은 전년보다 0.5% 증가한 1조5천11억원을 기록했다. 중앙지, 경제지 등의 소폭 성장에 힘입어 몇 년간 지속된 마이너스 성장을 탈출했다.
잡지광고 시장은 4천167억원으로 4.8% 감소, 역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디지털(PC·모바일) 광고비는 모바일의 급성장에 힘입어 3조원을 넘어섰다.
PC광고 시장은 7.8% 감소한 1조7천216억원을 기록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모바일 광고 시장은 2010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 전년보다 52.6% 증가한 1조2천802억원을 기록했다.
옥외·극장·교통 광고를 합친 OOH(Out of Home) 광고 시장은 2014년보다 7.4% 성장하며 1조5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광판, 옥상광고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옥외광고는 전년보다 3.3% 감소한 반면 교통광고는 11.7% 성장했다. 극장광고도 영화 관람객 최대라는 호재 속에 전년보다 20.2% 증가했다.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1.8% 성장한 10조9천234억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일기획은 국내 경제의 저성장 기조 예상, 환율 상승 등 불안한 경제 신호들 속에서도 올림픽 개최와 모바일, IPTV 광고의 높은 성장세 등을 호재로 들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