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여성의 날(3월 8일)을 앞둔 가운데 한국의 '유리천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단단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OECD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에서 전체 직원 대비 임원 비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은 2.4%였지만 여성은 6분의 1에 불과한 0.4%였다.
여성 가운데 임원의 비중은 일본(0.6%)보다도 낮아 자료가 있는 OECD 회원국 30개 가운데 꼴찌였다. 이 통계는 국제노동기구(ILO)의 기준(ISCO-08)에 따른 것이다.
한국의 500대 기업 임원 가운데 여성은 2.3%에 그쳤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500대 기업 가운데 반기보고서 제출대상인 348개 기업의 임원(비상근 포함) 1만1천720명을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는 1만1천447명(97.7%)이었으며 여자는 273명(2.3%)에 불과했다.
직원 수 대비 임원도 남성은 1.3%, 여성은 0.1%로 크게 차이 났다.
여성 임원 비중이 30%를 넘는 기업은 매일유업(50.0%)과 신세계인터내셔날(36.4%), 이랜드리테일(31.3%) 등 3개였으며 20% 이상인 곳은 이들을 포함해 CJ E&M(25.0%), 삼성물산(20.8%) 등 8개다.
국내 대표 기업들의 여성 임원 비율은 저조했다. 매출 1위 삼성전자는 임원 1천188명 가운데 48명(4.0%)이 여성이었으며 현대자동차는 266명 중 여성이 2명(0.8%)뿐이었다. 5위권에 드는 SK이노베이션(3.7%), 포스코(1.3%), LG전자(0.6%) 등도 임원 가운데 여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여성 임원이 1명도 없는 기업은 한국전력공사, 현대중공업, 기아자동차 등 238개(68%)에 달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