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선 바람 탄 동해안발전본부, 청사 유치 포항민심 쪼개지나

2018년 본부 청사 건립 예정…총선 출마자들 "우리 지역구에"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의 포항 이전이 확정됐지만, 포항 남구와 북구 간에 치열한 유치전이 벌어지고 있다. 또 본부 청사가 2018년 건립될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지금 당장 임시 청사를 구해 포항으로 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다 앞으로 동해안발전본부를 제2청사로 승격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4'13 총선 출마자들이 주민들 눈치를 살피면서 입지를 놓고 제각각 입장을 내놓고 있어 갈등도 우려된다.

북구 시민들은 흥해읍과 장성동을, 남구 시민들은 오천읍 사격장 부지를 미래 발전가능성과 인근 도시와의 접근성, 연결성 등을 고려해 최적지로 내세우고 있다. 또 전문가들은 동해안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른 시도처럼 본부가 아닌 제2청사 수준으로 격상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해안발전본부는 본부가 신축될 때까지는 당분간 기존의 경북도청사에 남아 업무를 보게 된다. 하지만, 포항 시민들은 지금이라도 포항으로 이전해 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포항시청사 내 농업기술센터를 기존의 흥해읍 농업기술센터로 보내는 등 시청사 내 사무공간 재배치를 통해 입주시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2년이라는 세월을 대구 경북도청사에서 허비할 것이 아니라 당장에라도 포항으로 옮겨와 포항 시민들과 살을 부대끼며 호흡해야 진정으로 동해안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분위기에 대해 경북도 서원 동해안발전본부장은 "포항시청사 내 여유 공간 여부는 포항시로부터 전해 들은 바 없으며, 신축 전 시청 내 입주문제는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 되고 경북도와 포항시가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나서 결정해야 할 부분이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 이전 추진위원회는 지난달 16일 도청에서 회의를 열고 동해안권 4개 시'군에 대한 평가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포항을 이전지로 최종 선정'발표했다. 포항은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용역 평가항목 중 적합성, 접근성, 파급효과성, 지방자치단체 의지 등 모든 부문에서 상위 점수를 받았다.

동해안발전본부는 경북도가 안동'예천 신청사 이전에 따른 동남권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고자 만든 별도 부서로 동해안발전정책과, 수산진흥과, 해양항만과, 독도정책과 등 4개 과 62명이다. 이전 규모, 시기 등에 대해 경북도는 포항시와 다시 협의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