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가 한라산보다 높고 울릉도보다 넓다(?)"
독도는 눈에 보이는 부분만 따진다면 작은 섬에 불과하다. 그러나 국립해양조사원이 바닷속 지형을 정밀하게 측정한 자료를 보면 독도는 결코 작은 섬이 아니다. 전체 몸집의 아주 일부만 물 밖으로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해수면 밖으로 나온 독도는 동도와 서도, 89개의 부속 섬으로 이뤄져 있다. 높이는 서도가 168.5m, 동도가 98.6m이고 둘레는 두 섬을 합해 5.4㎞, 면적은 18만7천554㎡에 불과하다.
해양조사원 자료에 따르면 물속에 있는 부분을 포함하면 독도의 전체 높이는 2,068m로 한라산 1,950m보다 100여m 더 높다.
독도는 아랫부분이 넓고 윗부분은 좁은 원추형으로 생겼다. 해양조사원이 독도 전체 높이의 중간쯤 되는 수심 1천m 이내 기준으로 산출해보니 둘레는 약 110㎞, 면적은 412㎢였다. 울릉도의 육상 부분 면적(72.56㎢)의 약 6배다.
물속을 들여다보면 독도는 '망망대해에 홀로 외로이 떠 있는 섬'이 아니다. 높이 1,000m가 넘는 산 4개가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것. 바닷속 산은 해산(海山)으로 불린다. 이 해산엔 안용복, 김인우, 이사부, 심흥택 등 울릉도와 독도를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한 선조들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 해양조사원이 정밀측량을 통해 다양한 해저지형들을 찾아내면 지명위원회가 이름을 붙이는데 독도 주변 해산에 붙은 이름엔 영토수호 의지가 담겼다.
해양조사원 관계자는 7일 "우리 영토는 육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국민들이 국토의 제 모습을 알고 이해할 수 있게 바다 속 지형을 널리 알리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