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참패로 터널에 갇힌 새누리당이 빠져나올 궁리는 하지 않고 "네 탓"만 외치고 있다. 민심은 "정신 차리라"며 회초리를 들었는데 제대로 된 반성도, 당 쇄신을 이끌 주체도 보이지 않는다. 되레 총선 패배의 책임과 탈당파의 복당,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을 놓고 계파 간 내전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15일 사태 수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다음 주 중 가동하고 5월 초쯤엔 차기 원내 사령탑을 선출할 계획이다. 전당대회도 앞당겨 열 방침이다. 전날 김무성 대표를 비롯해 지도부 전원이 심야 최고위원회를 열어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동반 사퇴하면서 원유철 원내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해 총선 후유증 수습의 수순 밟기는 시작됐다.
그러나 비대위원장에 원 원내대표를 앉힌 것부터 '잘못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패배의 공동 책임을 져야 할 인사가 비대위를 이끄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고, 민심을 역행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서울 서초갑에서 3선에 성공한 이혜훈 당선자는 한 라디오 프로에 출연, "사퇴하고 사과해야 할 사람이 맡는 건 부적절한 면이 크다고 본다"고 했다.
원내대표 경선'전당대회까지 당을 관리할 임시 기구를 구성하고, 그 기구가 당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당내의 파열음이 예상되는 부분이다. 새누리당은 "총선 결과로 나타난 민의를 참으로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짜맞춘 듯 고개를 숙이고 있으나, 참패 원인을 근원적으로 뜯어고치기보다는 뒤에선 책임 소재를 놓고 계파 간 서로 손가락질만 하고 있다.
친박계는 김 대표의 '옥새 투쟁'이 공천 전체를 막장으로 몰고 가면서 영남에서 야당의 침투를 허용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비박계는 '진박 감별사'까지 앞세워 민심과 동떨어진 후보를 공천한 게 참패의 원인이라고 맞서고 있다.
비박계 한 의원은 "총선 참패의 배경을 파고들다 보면 친박 주류 진영이 어떤 형태로든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며 "그런데도 이들은 '다음 수'를 어떻게 둘지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공천이 빚은 탈당파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를 놓고도 단합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14일 긴급 최고위에서는 "무소속 당선자의 복당 전면 허용" 방침을 정했지만 일부 친박계 강경파는 유승민 당선자의 정체성 위배 문제를 제기하며 '선별적 복당'을 주장하고 있다. "복당은 없다"며 선거 전 으름장을 놨으나, 국회의장마저 야당에 내줄 형편이 되자 이들 당선자에게 엎드려 절을 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도 "모두는 아니다"며 이중 잣대를 대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 쇄신론과 당'청 관계 재정립 요구도 고개를 들고 있지만 친박계의 생각은 다르다. '소통 부재'라는 지적을 받았던 청와대의 변화를 위해 인적 쇄신과 수평적 당'청 관계 정립이 필요하다는 비박계의 주장에 대해 친박계에선 선거 패배 책임론이 청와대로 향하는 데 대한 불편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