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참패로 '아노미 상태'에 빠진 새누리당이 사태 수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당 지도부가 원유철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하고 일괄 사퇴했지만, 비박계를 중심으로 공동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아 패배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은 원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는 게 과연 적절하냐는 비판이 분출하고 있다.
새누리당 내 김세연'이학재'황영철(이상 재선)'오신환(초선) 의원과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주광덕 당선자 등 일부 초'재선 의원은 17일 비상대책위원회 구성과 관련, "선거 패배를 책임지고 물러난 지도부는 비대위원장을 추천할 명분도, 권한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운 원내대표를 최단 기간 내에 선출한 뒤 그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이 돼 비대위를 구성하고, 당의 정비와 쇄신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회가 지난 14일 원유철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합의 추대한 데 대해 정면으로 반발한 것으로, 향후 비대위 구성에 진통이 예상된다.
이들은 "비대위는 관리형이 아닌 혁신형 비대위로서 당을 환골탈태시킬 수 있어야 한다"면서 "혁신 비대위는 이번 참패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한 후 이를 통해 당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도체제의 구조적 문제와 공천 과정에서 드러난 난맥상 등 본질적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세연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다음 달 초로 예상되는 원내대표 선출 시기에 대해 "당의 재건은 원내대표를 새롭게 선출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면서 "5월 초보다는 최대한 앞당기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원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추대에 대한 반대론은 비박(비박근혜)계를 중심으로 거센 상황이다. 원 원내대표가 '신박'(새로운 친박)으로 분류되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비박계 김재경 의원은 17일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 필승지국(必勝之局)을 유사 이래 최초 2당으로 만든 잘못을 얼버무리고 넘어갈 수는 없다"며 원 원내대표를 향해 "비대위원장(내정직)에서 물러나라"고 말했다.
비대위원장 자리를 둘러싼 당내 파열음은 친박계와 비박계의 주도권 다툼에서 비롯됐다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이 같은 대립 양상은 오는 22일 위원장 선출을 위한 전국상임위원회 회의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