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0대 재벌 사내유보금 550조…삼성 215조·현대차 112조

삼성'현대'SK 등 10대 재벌의 사내유보금이 550조원 규모로 1년 새 9% 넘게 증가했다는 시민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시민단체 13곳으로 구성된 '재벌사내유보금환수운동본부'는 21일 10대 재벌 93개 상장계열사의 2015 회계연도 개별재무제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0대 재벌 상장계열사들의 사내유보금은 549조6천억원으로 1년 새 9.1%(45조7천억원) 늘었다. 그룹별로는 16개 상장계열사가 있는 삼성이 215조3천억원으로 전년보다 9.4%(18조6천억원) 늘어나 1위였다. 11개 상장계열사가 있는 현대차그룹이 112조6천억원으로 10.2%(10조5천억원) 증가해 뒤를 이었다. 이어 SK그룹(16개사) 65조6천억원(23.7% 증가), LG그룹(12개사) 44조원(4.1% 증가), 롯데그룹(8개사) 8천억원(2.9% 증가) 순이었다.

30대 재벌로 범위를 확대하면 전체 사내유보금은 753조6천억원이다. 같은 방법으로 조사한 지난해 1분기(710조3천억원)보다 6.1%(43조3천억원) 증가한 액수다.

운동본부는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6%이고 가계부채가 1년 새 11% 이상 늘어났다. 성장이 둔화하고 서민 주머니가 쪼그라드는데, 재벌은 이익금을 곳간에 쌓아두기만 했다"며 "재벌의 유보금에는 산업재해, 불법파견, 저임금, 상시적 해고 압박 등에 시달리는 노동자의 피눈물이 서려 있다. 유보금을 사회로 환수해 노동자'서민 생존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경제단체는 사내유보금 개념을 오해한 데서 비롯됐다고 반박했다. 유보금은 부동산이나 시설 등에 투자한 돈을 포함하므로 현금성 자산과 다르다고 했다. 사내유보금은 1년간 세후 이익에서 배당금과 성과급 등으로 지출한 금액을 뺀 유무형 자산을 통칭하며, 부동산이나 기계'설비 등 구매 대금도 포함하므로 현금성 자산과 다르다는 것이다. 2014년 말 기준 30대 그룹의 사내유보금은 683조원이고, 현금'단기금융상품 등 현금성 자산은 17.3%(118조원)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