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한상의, 5월 6일 임시공휴일 지정 건의. 어린이날 황금연휴 가능할까

지난해 어린이날 열린 매일신문사 주최
지난해 어린이날 열린 매일신문사 주최 '어린이 큰잔치'. 매일신문 D/B

대한상공회의소가 다음 달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달라며 25일 정부에 건의서를 제출했다.

대한상의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내수경기 회복이 무엇보다 절실한 상황"이라며 "임시공휴일을 통해 만들어진 연휴 기간 동안 국민이 국내에서 다양한 가족연휴활동을 즐기게 되고 그러면 소비촉진과 내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만약 6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5월 5일(목) 목요일 어린이날부터 8일(일) 어버이날까지 나흘간 황금휴가를 즐길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 모두 1조3천100억원(추정)의 내수진작효과를 누린바 있다.

특히 관광·음식·숙박과 백화점 등 유통업계가 매출 증대 효과가 컸는데, 이번에는 어린이날과 어버이날 등 가족 행사가 겹치는 만큼 임시공휴일로 지정 효과가 지난해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대다수 초중고 학교들이 5월6일을 '재량 휴업일'로 지정해 단기 방학에 들어가는데다 정부에서도 '봄 여행 주간'(5월1∼14일)을 시행해 상승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특히 '봄 여행 주간'에는 관광시설·숙박·음식점 등 전국 1만 2000개 여행 관련 업체들이 할인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다만 재계는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중소기업 비용 증가를 위해 별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한상의는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때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정상조업이 불가피할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50% 휴일근로수당 지급 등의 추가 부담을 지는 중소기업을 위한 별도의 보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공직선거일과 국가장을 제외한 임시공휴일 지정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단 세차례였다. 1988년 9월17일 서울 올림픽 개막일과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을 기념한 7월1일, 그리고 지난해 광복 70주년을 기념한 8월14일이 전부다.

한편, 재계 역시 임시공휴일 지정 등 "노동자들의 휴일을 보장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5일 회원사들에 직원들의 연차휴가 사용을 촉구하라며 '연차휴가 사용 촉진을 위한 경영계 지침'을 내렸다. 이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것으로 기업들의 비용 절감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직원들이 휴가를 쓰지 않으면 연차휴가 수당을 지급해 비용이 늘어나니 최대한 휴가 사용권을 보장하자는 의미다.

경총은 지침에서 "기업들은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회사 업무상황을 고려, 징검다리 연휴 등에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라"고 권고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