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상승률이 4개월 만에 0%대로 추락했다. 국제유가 약세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큰 폭으로 오른 신선식품 가격 상승세가 꺾인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올 1월 0.8%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 1.3%까지 상승한 뒤에, 3월과 4월 각각 1%대를 유지하다가, 5월에 다시 0%대로 내려섰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다시 0%대로 낮아진 것은 국제유가 약세가 지속되면서 석유류 가격이 1년 전보다 11.6% 떨어진 영향이 컸다. 석유류 가격 하락은 전체 물가 상승률을 0.49%포인트 끌어내리는 효과를 냈다.
반명 서비스물가는 2.2% 올라 전체 물가를 1.24%포인트 끌어올렸다. 이 중 전셋값은 3.7% 뛰었고, 전철요금은 15.2%, 시내버스요금은 9.6%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1.3% 상승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6%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1.9% 뛰었다.
3개월 연속 9%대 상승률을 기록한 신선식품지수는 3.5% 올라 상승 폭이 한풀 꺾였다. 신선식품지수는 지난 2월과 3월 각각 9.7%씩 오른 뒤 4월에도 9.6% 오르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왔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현재 국제유가가 오르고 있지만, 지난해 5∼6월엔 유가가 상승했기 때문에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한 석유류 가격은 내림세로 나타난 것이고, 햇채소가 출하되면서 농수산물 상승세가 둔화됐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