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의 거장' 이우환 화백의 작품인 것처럼 위조됐다는 의혹을 받은 그림들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과학 감정 결과에서도 위작이라는 판정을 받았다.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국과수가 1∼5월 이우환 화백의 진품 그림들과 경찰이 감정 의뢰한 그림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의뢰 그림들은 진품과 다르다"는 의견을 보내왔다고 2일 밝혔다.
경찰이 국과수에 감정을 맡긴 작품은 위작 유통 및 판매책이 보관한 8점, 일반인이 구매한 4점과 미술품 경매에 나왔던 1점 등 총 13점이다. 국과수는 이 13점을 국내 유명 미술관이 소장한 이우환 화백의 진품 6점과 법화학 기법 및 디지털 분석 기법으로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진품은 물감 성분이 서로 유사하고 캔버스의 제작기법이 동일하나, 압수 그림들은 물감 성분 및 캔버스 제작기법이 진품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경찰은 "물감의 원소 성분을 살펴봤을 때 납은 진품과 의뢰물에 함유된 양이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며 "아연은 진품의 물감에는 들어 있는 데 의뢰물에는 들어 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국과수 감정에 앞서 국제미술과학연구소, 민간 감정위원회, 한국미술품감평원 등 3개 민간기관에 이 작품들의 감정을 맡겼고, 모두 위작이라는 의견을 받았다.
민간기관들은 캔버스와 나무틀에 오래된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덧칠한 흔적이 있고, 1960년대 이전 생산된 수제 못과 1980년대 생산된 고정 침이 한 작품에 혼용됐다고 지적했다. 또 안료 등 표면 질감과 화면의 구도, 점'선의 방향성 등이 진품과 다르다고 분석했다.
경찰은 이 화백의 작품인 '점으로부터' '선으로부터'의 위작들이 2012∼2013년에 인사동 일부 화랑을 통해 수십억원에 유통됐다는 첩보를 받고 지난해 수사를 시작했다. 경찰은 당시 화랑 몇 군데를 압수수색해 위작들을 확보했고, 화랑 주인들을 불구속 입건했다.
위조 화가 A(40) 씨는 2012년 이 화백 작품 50여 점을 위조해 제3의 유통책에게 전달했고, 경찰이 압수한 그림 일부도 자신이 위조한 그림이라고 시인했다. 그러나 감정을 맡긴 13점 중 일부는 자신들이 그리지 않았다며 부인해 경찰은 다른 위조책들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프랑스에서의 전시 준비를 위해 현지에 체류 중인 이 화백의 대리인인 최순용 변호사는 "불필요한 억측이 난무하고 피해가 커서 관련 위작에 관한 의혹이 해소되고 수사가 빨리 종결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민주 "전날 협상한 국힘과의 '3대 특검안' 최종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