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신공항 정치 쟁점화에 몰두하던 부산이 느닷없이 수십 년 묵은 과제인 '한일 해저터널' 추진을 들고 나와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거돈 동명대 총장은 4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리는 심포지엄에서 한일 해저터널의 필요성을 제기할 계획이다. 오 총장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한일터널'이란 발표를 통해 "한'중'일의 공동 성장을 위해선 자유로운 물류환경 조성이 필수적이고, 이를 위해 한일터널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서병수 부산시장은 2014년 선거 때 '서부산개발 프로젝트'에 한일 해저터널의 필요성을 제안했고, 지난해 12월에도 '서부산 글로벌시티 그랜드 플랜'을 발표하며 한일 해저터널 건설을 43개 과제 중 하나로 제시했다. 서 시장은 최근 시 정책회의에서 한일 해저터널의 필요성을 다시 강조했고, 내년 본예산에 5억원을 반영해 한일 해저터널에 관한 연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부산에선 2014년 시장 선거 당시 경쟁한 서 시장과 오 총장이 비슷한 시기에 한일터널을 언급한 것에 대한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부산발전연구원이 한일터널 한국 쪽 기점으로 가덕도를 제시한 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신공항 가덕도 유치를 위한 압박카드이자, 유치 실패 때 책임을 돌릴 탈출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오 총장까지 가세하면서 내년 대선과 2년 후 지방선거에서 신공항 이슈를 대신할 또 다른 쟁점이 될 수도 있다.
4개 시'도 관계자는 "해저터널 문제는 신공항에 쏠린 이목을 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며 "가덕도 유치 실패 때 정부에 반대급부로 요구할 수 있는 유인책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일 해저터널 개발은 1981년 처음으로 제안됐고, 1990년과 1999년에 노태우'김대중 전 대통령이 각각 언급했다. 2003년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일정상회담에서 다시 이야기하면서 찬반논란이 벌어졌다. 이후 비용 등 실익을 놓고 여려 차례 논쟁이 있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사업 추진은 없는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