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스카이는 1916년 1월 1일 마침내 황제에 올랐다. 그러나 이는 자충수였다. 최측근들까지 반발하면서 그는 3개월 만에 황제 자리를 포기한 채, 그해 6월 6일 만성피로와 요독증으로 사망했다. 비참한 죽음을 빼면 그는 '억세게 운 좋은 사나이'였다. 시골 향시에 두 번이나 떨어진 망나니였던 그가 출세의 발판을 마련한 것은 조선의 임오군란이었다.
하급관리에 불과했지만, 갑신정변으로 출병한 이홍장과의 만남은 인생을 바꿨다. 청일전쟁 일주일 전 귀국해 현대식 육군 7천 명을 지휘하면서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1900년 의화단사건으로 군 수뇌부들이 죽거나 몰락한 것도 그에게는 행운이었다. 1901년 11월에는 이홍장마저 죽었다. 서태후에 앞서 그와 악연이 있던 광서제가 먼저 죽은 것도 큰 행운이었다.
한때 모든 관직을 박탈당하고 은퇴했지만, 신해혁명 세력의 도움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그는 오히려 혁명세력을 무력화시켰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