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쓰련다는 야심은
그것만으로
시를 죽이기에 충분하다는
앙리 미쇼의 말씀!
시여
굶어 죽지도 않는구나.
시가 되려거든 타인의 폐허를 함부로 소유해서는 안 된다. 시가 되려거든 자신의 폐허를 세상으로 먼저 내놓아야 한다. 세상의 곁으로 가서, 폐허가 새로운 지상이 되도록 도와야 한다. 다리 없는 새가 폐허 위에 내려앉아 시가 된다. 땅속을 날고 있는 새가 지상의 새로운 언어를 만나 시가 되려 한다. 우리가 입을 벌릴 때 어두운 입속에서 유령은 눈을 뜬다. 우리는 그 유령의 눈을 시라고 부를 수 있도록 음악을 듣고, 세계의 리듬을 익히고, 가장 낮은 자리에 가서 삶의 상투적인 순간과 싸우고 있다. 가장 늦게 잠들고 가장 일찍 일어서는 언어는 시가 된다. 그 시의 곁을 지키고 있는 유령들은 우리들의 가장 늦은 언어가 될지 모른다. 당신의 폐허가 될지 모른다. 당신의 폐허로부터 태어나는 밑 구덩이 시가 되기를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