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후인 2032년 우리나라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여전히 폐암일 것으로 예측됐다. 또 대장암의 사망률은 2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전립선암, 여성은 난소암과 유방암 사망률이 높아진다. 반면 위암 사망률은 감소가 예상됐다.
강원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팀은 통계청의 2008~2012년 암 사망인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8~2032년의 암 환자 통계를 추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인구 10만 명당 암 사망자 수를 나타낸 우리나라 2008~2012년 조사망률(CR)은 남성의 경우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췌장암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췌장암 순이었다.
이런 암 사망률 추이는 20년이 흐른 뒤인 2028~2032년에는 남성에게 폐암(60.1명)이 가장 높고, 이어 대장암(33.3명), 간암(33.2명), 위암(22.5명), 췌장암(16.9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립선암 사망률은 10만 명당 12.1명으로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여성의 암 사망률은 폐암(24.9명), 대장암(19.9명), 췌장암(12.5명), 간암(11명), 유방암(10.6명) 순으로 예상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