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 실망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줄기차게 주장해 온 부산시민들은 영남권 지역 갈등을 봉합하려는 미봉책이라는 지적이 많았고, 민자 유치를 통한 독자적인 가덕 신공항 건설 필요성을 언급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러나 신공항 입지가 경남 밀양으로 선정되지 않은 것만 해도 다행이라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거나 최적의 결정이라며 반기는 쪽도 나오는 등 복잡한 심경을 드러냈다.
◆"정부 발표 받아들일 수 없다"
부산지역 시민단체와 지역경제계, 부산시, 일반 시민들은 일제히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가덕신공항추진범시민운동본부 박인호 공동대표는 "그동안 불공정 용역에 대해 3만 명 부산시민 궐기대회를 통해 시정을 촉구하고, 국토부에 고정장애물이 빠진 이유에 대해 질의도 했으나 지금까지 회신도 받지 못했는데 결국 이런 어정쩡한 말도 안 되는 결과가 나왔다"며 "국토부 용역 결과 발표에 승복할 수 없고, 이젠 민자유치 범시민운동을 전개해나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도래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최치국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해공항 확장안에 분명히 반대한다"며 "왜냐하면 김해공항을 일부 확장하더라도 절대로 신공항을 대체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최 선임연구위원은 이어 "1990년 당시 교통부가 수도권과 함께 부산권의 신공항 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정부는 김포공항의 용량 부족과 소음문제로 급증하는 항공수요를 더 이상 처리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리고, 소음영향이 전혀 없는 24시간 공항을 개발 방향으로 설정했고, 그 결과 내륙이 아닌 해안에 인천공항이 건설됐다"며 "반면에 부산권 신공항은 인천공항과 병행추진의 어려움 등으로 무산되고 말았고, 정부는 부산권 신공항 개발 대신 기존의 김해공항을 2단계에 걸쳐 확장했지만 추가확장은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산지역 의원들도 정부 발표에 "수용할 수 없다"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신공항 재추진"
가덕도 신공항 유치에 시장직까지 걸었던 서병수 부산시장은 "김해공항 확장안은 눈앞에 닥친 지역갈등을 피하고 보자는 미봉책"이라며 "부산 시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서 시장은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의사를 밝혔다.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영남권 신공항은 김해공항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부산이 심혈을 기울여 추진한 사업"이라며 "뼈아픈 고통과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그러나 서세욱 부산을 가꾸는 모임 대표는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르겠다"며 입장을 유보했다. 가덕도 신공항 유치를 주장하며 삭발까지 했던 조정희 부산여성소비자연대 대표는 "그나마 다행"이라며 "바라는 것과 다르지만, 차선책이어서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고 다소 다른 반응을 보였다. 백남규 김해공항 소음피해 대책위원장은 "내년 대선을 앞둔 여권이 텃밭인 영남을 전쟁터로 만들 수는 없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면서 '선(先)소음피해 대책 마련, 후(後)김해공항 확장'을 요구했다.
조현영 한국공항공사 부산지역본부장은 "김해공항 확장안은 최적의 결론"이라며 "정부와 협조해 항공 수요에 충분히 대응하는 거점공항이 되는 데 부족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반겼다.
가덕도 주민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김인배 가덕도 동선 어촌계장은 "주변 땅 매립으로 조업부진에 시달려왔기 때문에 가덕도 신공항이 건설되면 보상을 받고 어업을 포기하려던 어민이 많았는데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반면 전형탁 가덕도 발전협의회 이사장은 "부산 시민의 가덕도 신공항 유치 열망 때문에 그동안 조용히 있었지만 이번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