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역류성식도염증상, 지켜야할 생활습관과 증상의 원인

많은 이들이 역류성식도염에 의한 증상을 느끼고 있다. 증상은 구역질, 쓰라림을 중심으로 가슴 통증, 신물, 목 부위의 이물감, 만성적인 기침, 쉰 목소리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역류성식도염은 치료를 해도 재발이 되기 쉽다. 재발 확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원인을 알고 대처해야 하고 생활습관 개선도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역류성식도염은 위장의 남은 음식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염증이 나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사람은 하부식도의 괄약근이 위산의 역류를 막아준다. 하지만 하부식도 괄약근이 약화되면 역류를 막을 수 없게 된다. 이 문제는 저절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위장의 기능에서 찾을 수 있다. 위장의 기능저하에 의해 하부식도괄약근이 영향을 받는다는 얘기다. 또한 위장의 운동력이 약해져서 음식물이 내려가는 이동에 문제가 생겨도 역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역류성식도염이 나타났다면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다. 피해야 할 음식은 피하고, 식습관 외의 생활습관에서도 개선이 필요하다. 피해야 할 음식에는 커피, 녹차, 코코아, 초콜릿 등 카페인이 든 음식이 있다. 가슴쓰림 증상이 심하다면 특히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탄산음료도 좋지 못하다. 트림과 함께 위 내용물 역류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산도 높은 음식, 예를 들어 오렌지, 귤 등은 위액의 양이 늘어나게 만들고 위액 속 위산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는다. 기름진 음식도 피해야 한다. 어떠한 음식을 먹더라도 과식은 절대 하지 않는 게 좋다.

먹고 난 뒤 곧바로 눕는 것은 좋지 않으며, 최소 2시간 정도는 흐른 후 자리에 눕는 것이 낫다. 누울 때는 상체를 하체보다 높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복압을 낮추기 위해 뱃살을 빼보는 것도 방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원인을 정확히 찾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위편장쾌 네트워크한의원 영등포점 김지은 원장은 "역류성식도염을 없애기 위해서는 위장에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 특히 위장의 기능에 대해 살펴야 하는데 위장 운동성의 약화, 음식물 배출 등의 기능적인 문제로 인해 역류를 막는 기관인 하부식도괄약근이 느슨해지는 것이 문제다. 따라서 역류성식도염 원인 치료는 위장기능의 강화 및 정상화를 목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위장의 리듬, 탄력, 배출, 신경 등 네 가지 요소를 위장공능검사 등을 통해 객관적으로 파악해 원인을 알아낸 후 증상에 맞는 한약 처방을 실시한다. 단순히 식도염증을 치료하는 것이 아닌 위장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정확한 원인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극복해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