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日 자동차, 백미러 대신 카메라·모니터 부착 허용

미러리스 자동차가 곧 실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자동차에 백미러(측면거울)나 룸미러를 반드시 장착하도록 한 현행 자동차 보안기준을 바꿔 거울 대신 차 밖 카메라와 실내 영상 모니터로 대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기준을 마련했다.

28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국토교통성은 기존 미러와 같은 수준의 화질과 시야 확보를 전제로 '후사경' 설치 의무를 카메라와 모니터로 대체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18일부터 시행된 새 보안기준에 따라 거울 대신 카메라와 모니터를 설치하고 국토교통성의 인증을 받은 승용차와 트럭, 버스 등은 일반 도로를 주행할 수 있게 됐다.

새 기준은 운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모니터를 설치하도록 했다. 카메라와 모니터를 사용하면 기존 미러의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안전에 관계되는 문제인 만큼 카메라와 모니터가 고장 나지 않도록 하는 내구성과 운전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사용 편리성 등이 실용화의 조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사히는 기준 개정으로 카메라로 후면경을 대체할 수 있게 돼 ▷운전자의 사각지대를 없애 차로나 방향을 전환할 때 측면충돌사고 등을 줄이고 ▷비가 오거나 뒷좌석에 큰 짐을 실었을 경우에도 후방 상황을 거울로 보는 것보다 더 잘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도요타자동차 간부는 차체 밖으로 튀어나온 측면거울이 없으면 공기 저항을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연비 향상과 바람 소리 등 소음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영상 지연이나 고장이 났을 때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시속 100㎞로 달리는 자동차는 1초에 30m를 나간다. 주차 시 후방확인용으로 실용화된 카메라와는 달리 화면표시가 아주 짧은 순간이라도 늦어지거나 카메라가 파손되기라도 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거울을 통해서는 운전자가 위치감각을 직감적으로 느끼는 데 비해 모니터로는 파악이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