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의 압력계를 고가로 둔갑시켜 납품받은 제품을 사용한 포항제철소 직원들이 포스코 감사에서 대거 적발됐지만(본지 28일 자 9면 보도), 포스코는 "별 문제 아니다"는 입장을 보여 도덕적 해이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경찰은 "납품비리는 작업 안전에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사안에 따라 사법처리도 가능하다"는 의견을 내놔 향후 경찰 수사 개시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초 납품비리 감사를 벌인 결과, 포항제철소에 쓰인 압력계가 표시(라벨) 조작을 통해 저가제품이 고가제품으로 뒤바뀐 채 사용된 것을 확인했다. 포스코가 최근 3년간 해당 제품의 실적을 조사한 결과, 납품회사가 모두 3억원가량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파악했다.
이번 납품비리와 관련된 포항제철소 직원은 모두 77명이지만 인사위원회에 회부된 인원은 5명뿐이다. 11명은 이 제품을 반복적으로 주문했다는 이유로 경고, 나머지 61명은 주의 등 가벼운 처분으로 마무리됐다.
포스코 측은 납품비리에 대해 "납품된 제품이 원래 받으려고 했던 제품보다 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부분은 있지만 제철소 안전 등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다만 재질이 정상제품보다 강도가 크게 떨어지다 보니 교체주기가 짧아져 회사에 손실을 끼친 부분은 있다"며 "업체에 뒤통수를 맞은 것이지, 직원들이 이 사실을 알고 일부러 납품을 도운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경찰은 다른 입장이다. 경찰은 납품비리에 대한 공소시효가 7년일 정도로 죄가 무겁고, 특히 제철소 등에 납품하는 부품은 성능에 따라 대형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볍게 볼 수 없는 사안이라고 밝히며 수사 진행을 예고했다. 특히 저가제품을 고가제품으로 등록해주고, 주문코드 오류를 무시하고 계속 납품을 받아온 정황이 밝혀진 만큼 '포스코-납품업체' 간 비정상적인 거래 여부를 수사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포스코 납품비리가 단순해 보이지 않는다. 전문적인 설비 지식을 갖춘 직원들이 수년간 저가 제품을 고가의 제품으로 속아 사용했다는 것은 납득이 안 된다"며 "제철소 사고는 포항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사안이어서 납품비리 사건이 결코 가볍지 않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