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시내버스 파업에 대비, 전세버스 투입 등 대책을 내놨다. 시는 대구시내버스노동조합이 임금협상 결렬 시 19일 오전 4시부터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시내버스 전 노선에 전세버스, 관용차량 투입을 비롯한 셔틀버스 운행, 대구도시철도 증회 운행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시에 따르면 시내버스 노사는 올 1월부터 8차례에 걸쳐 임금협상을 벌였지만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 8.2%(29만7천560원) 인상 등 4개 사항의 요구를 고수하면서 협상결렬을 선언했다. 이후 이달 1일 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 임금조정을 신청하고 14, 15일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 96.8%로 18일 본조정 결렬 시 파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시는 시내버스 노사가 원만한 임금협상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설득하는 한편 만일의 사태에 대비,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먼저 시내버스 113개 전 노선에 전세버스 1천 대, 관용차량 22대, 파업 미참여 시내버스 112대 등 가용 차량을 총동원해 배치하고 무료로 운행할 계획이다. 또 교통 사각지역을 중심으로 도시철도 연결노선을 신설해 셔틀 전세버스를 4개 지역에 10대를 투입, 무료운행할 예정이다.
대구시내에 운행되는 경산, 영천, 고령, 칠곡, 성주 등 대구 인근 시'군 지역의 버스(17개 노선 192대)에 대해선 정상 운행하는 한편 예비차도 총동원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적극 협의'조치했다. 배차간격이 긴 달성군 등 오지지역은 전세버스와 관용버스를 투입, 정상운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시철도를 50회를 증회 운행하는 한편 택시 부제해제(4천254대), 승용차요일제도 전면 해제하기로 했다.
시는 또 출퇴근 시간대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시차출근 또는 등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그러나 비상수송수단을 총동원해도 배차간격이 13.6분에서 20.4분으로 평균 6.8분 정도 증가, 시민들의 불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시내버스 파업 시 대구시, 경찰청과 합동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운영해 파업 상황을 총괄할 예정이다.
김승수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시내버스가 파업에 들어가지 않도록 끝까지 노사를 적극 설득할 계획"이라며 "그러나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