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8일 오후 몽골 방문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격화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논란을 어떻게 풀어낼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히 사드 안전성과 배치지역 결정 과정에 대한 지역민들의 반발이 좀처럼 숙지지 않고 박 대통령의 순방기간 황교안 총리의 억류 사태까지 불거진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직접 경북 성주를 방문할지 여부가 주목된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당장 성주를 방문할 가능성은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박 대통령은 14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면서 성주가 사드 배치 최적지로, "레이더 전자파의 영향이 없다는 평가가 나왔다"고 안전성을 강조했다. 또 황 총리 억류 사태 다음 날인 16일 몽골 현지에서도 "국가 안보를 위해 국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한 상황이다. 박 대통령이 성주를 최적 입지로 못 박고, 안전성에 대해서도 "전혀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한 상황에서 당장 성주를 찾아 별다른 대안을 내놓거나 메시지를 전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14일 NSC에서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원방안'을 찾을 것을 주문했기 때문에 성주 군민들이 수용할 만한 카드를 모색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박 대통령이 '지역 주민들의 의견 청취와 소통' '국가 안위를 위해 지역을 할애해준 주민들에 대한 보답' 등을 언급한 상황에서 지역민과의 소통은 유지하면서 특단의 대안을 내놓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있다.









">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유승민, 정계 복귀 시그널?…"정치 결실 보고 싶다"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현장] 택배노동자 쫓아낸 민주당 을지로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