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 장마 평년보다 짧아…전국 평균 강수량 332.1㎜

올해 장마는 6월 18일에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시작되어 7월 30일에 중부지방에 비가 내린 후 종료됐다.

장마기간은 제주도 및 남부지방이 29일로 평년보다 짧았으며, 중부지방 37일로 평년보다 길게 나타났다. 전국평균 강수량은 332.1㎜로 평년(356.1㎜)보다 적은 것으로 기록됐다.

특히 제주도, 남부지방 및 서해안을 중심으로 강수량이 적었고, 강원영동을 중심으로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아 지역적으로 강수량 편차가 다소 큰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장마는 제주도와 남부지방은 평년보다 일찍 시작하였으며, 중부지방은 평년과 비슷하게 시작됐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장마는 평년보다 일찍 종료되었으며, 중부지방은 평년보다 늦게 종료됐다.와 남부지방은 장마가 종료되었음

특히 올해 장마는 장마전선의 활성화가 약했던 가운데, 7월 초반 집중된 많은 강수량을 보였다.

7월 1~6일에 장마전선상에서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을 받았으며, 제1호 태풍 네파탁(NEPATAK)이 북태평양고기압을 밀어 올려 그 가장자리에서 고온 습윤한 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장마전선이 활성화되어 많은 비가 내렸다.

6월 후반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동서로 발달하였으며, 우리나라 북쪽으로 차가운 공기를 가진 상층 기압골이 자주 지나가면서 장마전선이 북상하는 것을 저지하여 강수량이 적었음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으로 7월 말 장마전선이 주로 북한지방에 위치하고 있어 강수량이 적었던 것으로 분석 된다. 또 장마기간에 장마전선의 소강상태가 길어 강수량이 적었던 것으로 체감되나 7월 1~6일 동안 올해 장마기간에 내린 비의 67%가 내려 전국(제주도제외)장마강수량이 평년대비 93%로 크게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마가 끝난 후 당분간 폭염 지속, 낮 최고기온 더 오를 것으로 전망 된다.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가운데 4일(목)부터 중국북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우리나라 상공으로 유입되면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낮 최고기온이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4일부터 우리나라 상공에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에 의해 대기는 안정화되어 구름발생이 줄어들면서 일사가열은 증가하고, 지상에는 동풍이 유입되면서 서쪽지역과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낮 기온이 높게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이후, 상층에 찬 공기가 일시적으로 남하할 경우 대기불안정에 의한 국지적으로 강한 소나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기상청 관계자는 "날씨 변화가 심하니 발표되는 최신 기상정보를 적극 참고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