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기사님의 '양심고백'. 그 진실은?
폭염과 열대야에도 누진세 때문에 쉽게 에어컨을 켜지 못하는 현실.
산업용 전기와 달리 가정용 전기는 많이 사용할수록 누진되기 때문에 요금을 더 내야해서 에어컨은 거의 장식용일 때가 많다.
(*누진세:과세 대상의 수량이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세금)
이런 현실에 한 에어컨 기사님이 '양심고백'이라며 꿀 팁 선사! 페이스북 등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기사님의 양심고백은 이렇다.
1. 에어컨 희망온도는 항상 23도로. (작게-고온다습한 우리나라 여름 기후 특성상 21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음)
2. 에어컨 필터, '교체'는 있어도 '보충'은 없다.
3. '제습'기능으로 ⅓~⅕가량 절약.
(하루 5시간 한 달 사용 시, 6~10평 3만~3만5천 / 12~23평 5만~7만5천 하지만 제습기능을 사용하면 1만3천~2만8천으로⇩)
그런데, 이 에어컨 기사의 양심고백이 놀라운 결과로 뒤집혔다.
JTBC '팩트체크'는 "과연 냉방보다 제습이 전기료가 더 적게 나올까?"라는 의문에서 실험을 진행.
JTBC 실험결과 하루 종일 제습 기능으로 한 달 동안 에어컨 가동 시.
벽걸이 형-427,000원 / 스탠드 형-1,078,000원 → 양심고백에서 밝힌 13,000원과는 무려 80배 차이.
그렇다면 조금이나마 전기세 폭탄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1. 에어컨+선풍기 조합은 옳다!
- 에어컨 가동 시 선풍기를 동시에 돌리면 제습 효과를 낼 수 있음.
2. 10년 이상 된 오래된 에어컨은 에너지 효율 높은 최신 제품으로 교체!
- 에너지 효율 1등급 가전제품은 구매가 10% 환급 받을 수도 있음.
3. 희망온도는 '26도'가 최적.
- 33도→26도와 33도→24도는 2도 차이지만 사용 전력량은 2배!
4. 에어컨 필터 청소는 2주에 한 번.
5. 실외기는 서늘하고 장애물 없는 곳에.
낮에는 폭염, 밤에는 열대야로 에어컨이 절실한 요즘. 전기세․누진세로 무거운 마음이 조금이나마 가벼워지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