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동안 우리나라 사람들의 육류 소비량은 급증한 반면 쌀 소비량은 반 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가 발간한 'NH 축경포커스'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평균 47.6㎏이었다. 1970년 5.2㎏ 대비 9배 이상 증가한 것.
축산물에 이어 소비량이 많이 는 품목은 과실류로 1970년 대비 약 7배, 채소와 수산물은 각각 2, 3배씩 증가했다. 이는 해방 이후 혼란기를 거쳐 1960, 70년대 경제개발기를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육류 등의 식품이 밥상에 많이 오르게 됐기 때문이다.
반면 같은 기간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이 서구화되면서 쌀 소비량은 오히려 반 토막이 났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2.9㎏으로 1970년(136.4㎏)보다 54% 감소했다. 지난 한 해 1인당 우유 평균 소비량(77.6㎏)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쌀 소비량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 관계자는 "식생활 서구화 현상이 지속되면 식량자급률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며 "국산 농축산물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인들의 평균 신장이 커지는 등 체격이 향상된 것도 축산물의 소비 증가와 관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통계를 보면 1960년까지만 해도 166.4㎝이던 20세 기준 성인 남성의 평균키는 지난해 174.9㎝로 8.5㎝ 늘었다. 여성도 153.8㎝에서 162.3㎝로 평균 신장이 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