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일만에 집으로"...'석방' 한국인 태운 버스, 애틀랜타 공항 도착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민단속으로 체포됐던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서 나와 버스에 탑승해 손 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민단속으로 체포됐던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서 나와 버스에 탑승해 손 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이민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들이 7일 만에 석방돼 귀국길에 올랐다.

11일(현지시간) 오전 8시 30분부터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 석방된 한국인 316명이 탄 버스 8대가 차례로 도착했다. 이들은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 지역에 있는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불법 체류 및 고용 문제로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의해 체포됐다. 이후 포크스턴 구금시설에 일주일간 억류돼 있었다.

버스는 포크스턴에서 애틀랜타까지 약 6시간을 이동해 공항 화물 청사로 진입했고, 곧바로 대기 중이던 대한항공 전세기 앞에 정차했다. 현장에선 미국 측과 사전 합의된 대로, 이민자들은 수갑이나 포승줄 없이 평상복 차림을 한 채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 일반적인 출국 수속과 달리, 이들은 공항 내 보안구역에 정차한 버스에서 곧바로 전세기에 탑승한 뒤, 별도로 신원 확인 절차를 거쳐 출국하게 된다.

석방 시각은 이날 오전 2시 18분으로, 이들은 곧바로 마련된 8대의 일반 버스를 타고 공항으로 이동했다. ICE 단속 당시 구금된 한국인은 총 317명(남성 307명, 여성 10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명은 '자진 귀국' 대신 현지에 남기를 선택했다. 여기에 중국(10명), 일본(3명), 인도네시아(1명) 등 외국 국적자 14명도 함께 귀국길에 오른다. 귀국자 수는 총 330명이다.

이들의 귀국을 위해 대한항공은 368석 규모의 B747-8i 전세기를 투입했다. 인천에서 애틀랜타까지는 승객 없이 비행하는 '페리편'으로 운영됐으며, 전세기 왕복에 드는 약 10억 원 규모의 비용은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엔지니어링이 나눠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태의 수습을 위해 현지에 체류 중인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도 이들과 함께 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것으로 전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