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인 노재헌(60) 재단법인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이 이재명 정부 첫 주중대사로 사실상 내정됐다는 소식이 11일 알려졌다. 노 이사장이 중국 측의 부임 동의 절차를 거치면 지난 1월 정재호 전 주중대사 이임 후 비어있던 자리를 채우게 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1일 "노 이사장을 중국대사로 낙점하고 실무 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주중대사에 노 이사장을 내정한 배경에는 노 전 대통령이 과거 재임 시절인 1992년 한중수교를 맺는 등 이른바 '북방정책'에 힘써 왔다는 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일을 앞둔 지난달 20일 경기 파주 통일동산에 위치한 노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며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 당시 초심을 지키기를 원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노 이사장도 2016년 중국 청두시 국제자문단 고문을 맡는 등 한중 교류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벌여왔다. 노 이사장은 지난달 말에도 이 대통령의 특사단으로 중국을 방문하며 눈길을 끌었다. 당시 특사단에는 박병석 전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박정 의원이 함께 했다.
여권 한 관계자는 "그동안 알려진 것 이상으로 중국에 대한 전문성을 쌓아왔다는 점에서, 정부로서도 한중관계 개선에 적임자라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이사장이 2019년 개인 자격으로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고 5·18 민주화운동 유가족을 직접 찾아 사죄한 점 등을 감안하면 '사회통합'의 의미를 갖는 인선이라는 풀이도 나온다.
다만 노 이사장이 외교관 출신이 아닐뿐더러 주류 정치권에서도 활발히 활동한 이력도 없기에 주중대사 발탁은 다소 의외의 선택이라는 반응도 상존한다. 12·12 군사반란 등 노태우 전 대통령의 과오에 대한 사회적 반감이 여전하고, 노 전 대통령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반발도 인다.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 기념재단은 11일 성명을 내고 "정부의 주중대사 내정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외교부 "'美구금' 전세기 10일 출발 어렵게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