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휴가 갔다 왔더니 '일광화상' 두통·오한·발열 겪을 수도

피부 따끔하고 화끈…환자 절반이 20·30대

휴가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일광화상 환자의 절반은 20, 30대 젊은 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일광화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1만991명 가운데 30대가 23.8%로 가장 많았고, 20대 24.1%, 40대 13.5% 등의 순이었다. 20, 30대 환자가 전체 환자의 47.9%에 이르는 셈이다. 2014년 기준으로 일광화상 환자는 9천213명으로 8월에 2천553명으로 가장 많았고, 7월(1천985명)과 6월(1천78명) 순으로 환자가 많았다.

일광화상의 원인은 자외선 B다. 자외선 B는 각질형성세포와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이 세포들이 분비하는 히스타민과 세로토닌, 프로스타글란딘, 인터루킨, 뉴로펩타이드 등의 물질들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관벽의 투과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염증세포가 피부로 침투하며 붉은 반점과 부기를 일으킨다.

일광화상을 입으면 햇빛을 받은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고 부풀어 오르며, 따끔하고 화끈거린다. 심한 경우에는 통증과, 물집 등이 생기고, 두통과 오한, 발열, 오심, 빈맥 등의 전신 증상과 쇼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보통 4~6시간의 잠복기를 거치며 16~24시간에 증상이 최고에 달했다가 72~120시간 후에 사라진다.

일광화상은 피부의 열을 식히는 대증요법으로 치료한다. 증상이 경미할 경우에는 얼음찜질이나 샤워로 피부를 식힌 뒤 냉수나 피부의 염증을 치료하는 버로우용액을 발라 하루 3, 4차례 냉찜질하면 된다.

건조해진 피부와 붉은 반점에는 피부연화제나 보습제를 바르면 된다. 피부의 허물이 벗겨졌다면 그대로 두거나 보습제를 발라야 한다. 화상이 심해 물집이 잡혔다면 절대 터트리지 말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염증이나 통증이 심하면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바르는 것이 좋다. 2차 세균 감염 등 합병증이 생긴 경우에는 항생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일광화상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햇빛이 가장 강한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외출을 삼가고 모자나 양산을 쓰거나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도움이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