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선 핵심 이슈 '지진'…전체 유권자 1/4이 사는 영남권

원전 안전이 최대 관심사 떠올라…탄탄한 대책 내놔야 민심 잡아

지진대책이 차기 대선국면에서 핵심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전체 유권자의 1/4이 살고 있는 영남 주민 대부분이 잇따른 강진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거주하고 있는 데다 지진 발생지역이 원자력발전소와 인접한 탓에 불안감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 여야의 대선주자들은 앞다퉈 지진 발생현장을 방문하거나 안전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 4월 총선 기준 영남지역 유권자 수는 모두 1천84만4천544명이다. 전체 유권자(4천210만398명)의 25.7%를 차지하고 있다.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자와 낙선 후보의 득표 수 차이가 100만 표 정도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영남 민심의 향배에 따라 차기 대선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

최근 연이은 강진으로 영남의 민심이 흉흉하기 때문에 여야의 대선 주자 가운데 누가 지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지진대책을 내놓느냐에 따라 대권의 주인공도 달라질 수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난생처음 겪은 강진에 영남지역 주민들의 공포심과 불안감이 극에 달한 상황"이라며 "날로 심해지고 있는 안보 불감증을 고려하면 역대 대선 때마다 단골 이슈로 제기됐던 이른바 '북풍'보다 '지진공포'가 차기 대선에선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와 인접한 지역에서 발생한 강진이 여진까지 동반하고 있어 영남 주민들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차기 대선에선 영남 유권자들이 '후보의 고향'을 따지기보다 탄탄한 지진대책을 내놓는 후보에게 더 후한 점수를 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당장 내가 살고 있는 땅이 흔들리고 사는 곳과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원자력발전소의 정상 가동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된 상황에서 대선후보의 출신지는 부차적인 문제가 될 공산이 크다"며 "지역주의 위력이 다소 완화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영남지역 표심을 잡으려는 여야 대선주자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여권에선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과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추석 연휴를 반납하고 경주를 방문해 민심 수습에 나섰으며 새누리당은 21일 경주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야권에서도 김부겸 더민주 의원,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가 강진 발생 다음 날 경주를 방문해 현장을 챙겼다. 추미애 더민주 대표는 20일 경주를 방문했다.

정치권에선 보여주기식 행보나 단발성 대책이 아닌 실현 가능한 궁극적인 대응책을 내놓는 후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