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丁 대치' 득실은? 대선 선점 對 야권 공조

與 정 의장 위축시켜 지지층 결집-野 김 장관 해임건의안 통과 공조

국정감사 이틀째인 27일 야당은 단독으로 국감을 진행했다. 국감을 '볼모'로 한 여(與)-야(野)-정(丁) 대치가 이틀째 계속된 것이다. 어느 한 쪽도 양보의 기세가 없고, 대치를 풀겠다는 의지도 보이지 않는다.

새누리당은 국감 불참을 이어가며 정세균 국회의장을 향한 고삐를 더욱 옥죄고 있다. 이날 새누리당은 정 의장 사퇴촉구결의안과 징계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정현 대표는 이틀째 단식 농성을 이어가고 있고 의원들은 돌아가면서 릴레이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당은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의원총회를 열어 결속을 다지고 있다.

야권은 단독 국감을 진행하며 국정파행의 책임을 집권여당에 지우고 있다. 더욱이 야권은 새누리당의 행동을 '코미디' '정치쇼'로 폄하하며 정치 희화화의 주범을 여당에 돌리고 있다.

정 의장은 여당의 집중포화에도 "의장의 당적이탈 의무는 정치적 중립의무와는 관계가 없다"며 새누리당의 요구에 응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양보 없는 힘겨루기로 각종 민생 이슈도 파묻혀버린 상태지만, 정치권은 이번 대치를 통해 '여야정'에 돌아갈 이해득실 분석에 분주하다.

먼저 새누리당.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밀어붙인 책임을 물어 정 의장의 사퇴 관철을 위해 집권당으로서 국감을 거부하는 극단적 카드를 빼내든 새누리당의 머릿속엔 내년 대선이 자리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권 재창출을 위해선 현재의 구도를 크게 뒤흔들 필요가 있는데, 정 의장을 위축시킴으로써 여소야대 판도에 마냥 끌려가지 않는 여당의 면모를 보여야 지지층을 계속해 결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의도하지 않았다지만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의혹,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최순실 씨 의혹 등 여권에 불리한 이슈가 '해임건의안 정국'에 다소 가려졌다는 점도 새누리당에겐 나쁘지 않다.

야당은 '여소야대'의 힘을 보여주며 '야권 공조'를 얻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공조를 통해 김 장관 해임건의안을 통과시키면서 '힘의 추'를 야권으로 가져왔다는 인상을 남겼다. 특히 국민의당은 중재자 역할을 한 번 더 보여주며 존재감을 부각시켰다는 관측이다.

또 야당 단독이라도 국감을 진행해 '민생 포기 정당'(새누리당) 대 '민생 챙기기 정당'의 구도를 부각하는 효과에다, 상대방의 페이스에 끌려가지 않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내년 대선을 앞두고 지지층 결집 노림수도 꾀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