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의 쌀밥 간편식이 '쌀 공급 과잉' 문제를 해소하는 해결사 역할을 하고 있다.
5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도시락과 삼각김밥 등 쌀밥 간편식 매출이 늘면서 편의점이 사들이는 쌀의 규모도 날마다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편의점 씨유(CU)를 보면 BGF리테일(CU 운영사)이 직접 운영하는 BGF푸드(전북 완주군)를 포함해 전국 8개 간편식 제조공장이 올해 상반기에만 약 5천500t(약 68만8천여 가마)의 쌀을 매입했다. 전년 동기(3천200t)보다 72% 늘어난 규모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일일 평균 쌀 소비량이 172.4g(통계청)인 점을 고려하면 약 9만 명이 1년 동안 먹을 양을 씨유에서만 6개월간 소비한 셈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씨유의 쌀 소비량은 지난해(6천400t)의 약 두 배인 1만1천500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세븐일레븐과 GS25까지 더하면 '편의점 빅3'의 올해 쌀 수요는 3만t을 훌쩍 넘을 것이 확실시된다, 이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산하는 올해 쌀 초과 공급량 35만t(수확량 추정치-적정 수요)의 10분의 1 수준이다.
편의점 쌀 소비가 급증한 것은 편의점에서 파는 도시락'삼각김밥'주먹밥 등 간편식이 직장인'학생들의 식사 문화를 좌우할 만큼 큰 인기를 얻고 있어서다. 씨유와 세븐일레븐, GS25의 올해 1~9월 도시락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의 2.54~2.97배 수준이었다.
김정훈 BGF리테일 간편식품팀장은 "도시락 쌀 수요가 가정 쌀 수요를 상쇄하기는 하지만, 편의점 도시락은 새로운 수요와 시장을 창출한 만큼 쌀 소비 촉진에 분명히 기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질 높은 간편식을 계속 개발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