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 통합이전사업이 최순실 사태로 차질을 빚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지난 7월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시작된 공항 이전사업은 국정 혼란으로 추진 동력을 잃고 좌초하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적지 않다. 거기다 '민항 존치, 군사공항만 이전'을 주장하는 이들까지 목소리를 높이면서 다소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대통령의 자리가 위태롭고 국정 공백이 빚어진다지만, 공항 이전은 정상적으로 추진돼야 마땅하다. 대구공항 이전은 정치적인 문제와는 상관없이 대구'경북에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대구공항 이전은 주민 숙원 해결과 대구 미래 발전을 위해서는 꼭 성공시켜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 국방부, 국토교통부가 서로 협력하며 한 발짝씩 나아가고 있는 때에 일부에서 이전 불가능론, 무용론 등을 설파하는 것은 패배주의적 사고나 다름없다. 모처럼만에 맞은 호기를 활용하지 않으면 향후 더 이상의 기회는 없을지 모른다. 아직까지 군공항이전특별법의 '기부 대 양여' 방식에 대해 회의를 갖고 있는 이들도 적지 않다. K2 부지를 팔아 이전 부지 비용을 대는 방식은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법률적으로 대구시가 수용하고 감당할 수밖에 없다.
각계에서 제기되는 목소리에 대처하는 대구시의 자세도 문제다. K2 이전의 당위성과 '기부 대 양여' 방식 등에 대한 홍보가 부족했고 '민항 존치' 주장 등에 대한 해명도 거의 없었다. K2 이전터 개발계획에도 문제가 많다. 주거 용지는 과다하고 산업 용지는 태부족하니, 시민들은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과연 이 정도 계획으로 대구시의 미래 발전을 담보할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 대구시가 좀 더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는다면 자칫 '사공이 많아 배가 산으로 가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런저런 논란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대구공항 이전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점이다. 올해 말까지 예정된 이전 후보지 선정 작업도 차질없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아무리 어려운 환경이라고 하지만, 대구시민이 단합하면 못 이룰 것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