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최저기온이 2℃까지 떨어진 2일 오전 대구 중구 남성로 염매시장 입구. 남성 서너 명이 몰려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쌀쌀한 날씨에 굳은 손을 바꿔가며 담배를 피우던 이들은 화단에 꽁초를 던져넣은 뒤 바쁜 걸음으로 사라졌다. 흡연자들 옆에는 '금연구역' 표지판이 붙어 있었지만 신경을 쓰는 이는 없었다. 담배를 피우던 30대 남성은 "달구벌대로변이나 약전골목에서는 차마 담배를 피울 수 없어 그나마 눈치가 덜한 시장 입구를 찾는다"면서 "날씨도 추워지는데 담배를 피우려 골목을 헤매는 게 서글프다"고 푸념했다.
찬바람이 불면서 야외로 내몰린 흡연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공공장소가 모두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데다 거리에서는 단속에 걸리거나 행인들의 따가운 눈초리를 맞아야 하는 탓이다.
금연구역 확대와 함께 흡연자들이 설 자리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2014년 2만7천여 곳이던 금연구역은 지난해 5만8천여 곳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반면 흡연시설은 지난해 1천143곳에서 올 10월 말 현재 1천452곳으로 309곳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흡연시설은 주로 관공서나 의료기관, 학원, 사무용 건물 및 공장 뒤편 등으로 근무하거나 따로 방문하기 전에는 찾기 어려운 장소들이다.
금연구역에서 담배를 피우다가 단속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금연구역 내 흡연으로 적발된 건수는 지난해 1천635건, 올해도 10월 말까지 1천224건이나 된다. 직장인 강모(36) 씨는 "금연구역 표시는 어디에나 있는데 흡연시설은 눈 씻고 찾아봐도 없다"면서 "적절한 흡연시설이 있으면 간접흡연 피해를 막을 수 있고, 거리도 깨끗해질 수 있는데 단속에만 열을 올린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대구시내 한 구청 관계자는 "흡연자들이 골목으로 숨어들면서 주민들의 민원이 엄청나게 들어온다"면서 "금연구역만 늘려서는 흡연 장소가 분산되는 '풍선 효과'를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대구시 관계자는 "흡연자들은 불만이 있겠지만 담배를 피우기 어렵게 하고, 쾌적한 금연구역을 조성하면 금연 분위기가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