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근혜 정부, '최순실 게이트'에도 국정교과서 강행 방침

28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이 교육부 출입기자들에게 배포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이 교육부 출입기자들에게 배포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정부가 결국 국정 역사교과서를 강행할 전망이다. 교육부는 28일 오후 전용 웹사이트에서 이북(e-Book) 형태로 현장검토본을 공개한다. 현장검토본은 최종본을 발간하기 전에 현장 의견 수렴 등을 하기 위한일종의 '시험본'을 말한다. 이와 함께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다. 담화에는 최종본이 완성된 뒤 현장 적용 방법을 언급할 예정이다. 집필진 47명의 명단도 함께 공개되며 이 부총리의 담화 발표 때 대표집필진도 참석한다.

당초 국정교과서 철회 쪽으로 무게를 싣던 교육부는 주말을 기점으로 국정교과서 강행 방침을 확고히 했다. 이 부총리는 2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철회 가능성은 없다"고 청와대와의 반목설을 부인하면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의견 수렴이 끝나는 다음달 23일까지 현장 적용 방안을 결정해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또 28일 오전에는 새누리당과 조찬 간담회를 갖고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에 대해 사전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 부 총리는 국정 역사교과서 추진 여부에 대해 "그대로 밀고 가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역시 28일 국정 역사교과서에 대해 "철회가 아닌 것으로 알고 있고, 교육부와 청와대 입장이 다른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답변했다. 정 대변인은 "오늘 교육부에서 발표하면서 충분히 설명할 것으로 안다"고 짧게 답했다.

교육부는 이날 현장검토본 공개와 함께 다음달 23일까지 전용 웹사이트에서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의견을 내려면 공인인증서나 휴대전화, 아이핀 등으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며, 제출된 의견은 공개되지 않는다. 최종본은 내년 1월 편찬심의위원 16명 명단과 함께 공개된다.

당초 교육부는 3월 신학기부터 전국 중·고등학교에서 일괄적으로 최종본을 역사/한국사 교재로 사용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최순실 게이트'의 영향이 국정교과서에도 미쳤다는 의혹이 제기되는데다 국민 반발 여론이 뜨거워 현장 적용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