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당시 국가안보실장이던 김장수 주중 대사가 첫 보고를 서면으로 했다고 확인했다. 김 대사는 28일 베이징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오전 10시 첫 보고를 서면으로 한 것으로 돼 있더라"며 "관저에도 하고 집무실에도 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위급한 상황에서 첫 보고가 서면이었던 이유에 대해 "그것은 청와대에 물어보라"고 말했다.
김 대사는 첫 보고 이후 자신이 "오전'오후 6, 7번 정도 유선(전화) 보고를 한 것으로 기억한다. 6, 7번 중에는 대통령이 (전화를) 하신 것도 있고 내가 드린 것도 있고 그 정도 통화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정상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상황이었느냐는 질문에 "지시를 몇 번 했다. 별도로 본인이 전화를 하셔서 지시를 했었다"고 말했다.
김 대사는 자신이 세월호 선체가 기울어져 뒤집어졌고, 승객들이 그 안에 있다는 사실도 보고했다고 전했다. 또 "오후 2시 이후 구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보고를 했을 때 심한 질책을 받았다"며 질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구했다고 했다가 그게 아니라는 식의 통계의 불확실성, 거기에 대한 질책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대사는 또 박 대통령이 자신에게 "유리창을 깨서라도 구하라" "선실을 다 뒤져서 깨서라도 구하라"는 지시를 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김 대사는 대통령이 오후 5시 15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방문해 했던 첫 질문이 "일몰 전에 생사 확인해야 하지 않겠는가. 구명조끼를 학생들은 입었다고 하는데 그렇게 발견하기 힘든가" 등 상황 파악이 전혀 되지 않은 듯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순수한 궁금증 '이노슨트 와이'(innocent why) 차원에서 물어보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사는 박근혜정부 초대 국가안보실장으로 재직하다가 세월호 참사 직후인 2014년 5월 물러났고, 2015년 3월 주중 대사로 부임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