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다음 달 9일까지로 잡힌 야권의 탄핵 추진 일정이 다음 달 2일로 앞당겨질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25일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탄핵은 오래 끌면 안 된다"며 "의결정족수가 될 것 같으면 (다음 달 2일) 처리한다"고 했다.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도 "가능한 한 하루빨리 의결하는 게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런 조기 탄핵이 실현되지 않아도 어쨌든 다음 달 9일에는 탄핵안이 처리될 것이다.
문제는 탄핵 이후이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헌법재판소의 심판이 나올 때까지 최장 180일이 소요된다. 현재 야당의 일정표에는 이 기간 중 국정을 어떻게 관리하고 탄핵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봉합할지에 대한 계획은 전혀 없다. 더 큰 국가적 혼란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를 '탄핵 이후'로 속절없이 떠밀려 가고 있는 형국이다.
이는 야당이 자초한 것이다. 탄핵 추진 이전에 국회가 총리를 추천하는 것이 탄핵 이후를 대비하는 최선의 방책이다. 하지만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총리 추천 문제를 놓고 입씨름만 벌이다 결국 '선(先) 탄핵'이란 가장 나쁜 선택을 했다. 그 배경에는 자신들과 가깝거나 의견이 맞는 인물을 총리로 세우려는 욕심이 있었을 것이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다. 야당의 기피 인물이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는 희한한 상황이 연출되는 셈이다. 그렇다 해도 탄핵 이후 국정은 황 총리와 야당이 협조해서 꾸려갈 수밖에 없다. 과연 야당이 그렇게 할까? 대답은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야당의 무책임·무대책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지금은 경제위기 직전이다. 하지만 이를 막을 경제부총리는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상황이다. 유일호 경제부총리는 사실상 현안에서 손을 뗐다. 후임으로 내정된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신속히 인준하라는 여론이 빗발치지만, 야당은 귀를 닫고 있다. 탄핵과 그것이 가져다줄 반사이익만 열심히 계산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을 수밖에 없다. '탄핵 이후' 국가와 국민을 위한 야당의 대책은 뭔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