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남극과 북극 바다에서 알래스카 면적 두 배(약 384만㎢) 크기의 해빙(海氷)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립빙설데이터센터(NSIDC) 마크 세레즈 국장은 5일(현지시간) 지난달 북극 일부 지역의 기온이 평균보다 20℃ 이상 높았던 적이 며칠 있었다며 "정말 비정상적인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NSIDC의 위성 관측 결과 지난 4일 기준 남극과 북극의 얼음양은 1981∼2010년 평균보다 384만㎢가 줄어들었다. 알래스카 면적의 두 배, 인도 전체 국토 크기만 한 해빙이 녹아 사라진 것이다.
남극의 얼음은 보통 여름 해빙기에 면적이 줄어 12월 초 가장 작아지는데 올해 12월에 1천122만㎢로 1982년의 역대 최소 기록을 깨뜨렸다. 북극의 빙하 면적도 1천25만㎢로 2006년 기록을 밑돌았다.
북극의 빙하가 꾸준히 감소하는 것과 달리 남극해에서는 최근 몇 년간 얼음이 증가해왔는데, 이제 남극과 북극 모두에서 빙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온실가스 증가와 엘니뇨 등으로 매달 역대 최고기온 행진을 이어가며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한 것이 빙하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세레즈 국장은 "'잠자는 코끼리'인 남극이 깨어나고 있는 것이 특히 우려 사항"이라고 말했다.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 앤더스 레버먼 교수는 빙하 감소의 원인으로 인간에 의한 온난화를 지목하며 "정상 상태에서 엄청나게 벗어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