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북에 40억 양보한 경북, 탄소산업시대 열었다

예타 통과한 대구경북 숙원사업

경북이 천신만고 끝에 대한민국 탄소산업 시대를 주도하게 됐다.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지난 2014년 일본 도레이사를 방문해
경북이 천신만고 끝에 대한민국 탄소산업 시대를 주도하게 됐다.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지난 2014년 일본 도레이사를 방문해 '탄소 자동차'를 살피고 있는 모습.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가 '대한민국 탄소산업' 시대를 열었다. 경상북도와 전라북도가 협력사업으로 추진한 '탄소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숱한 고비를 넘기고, 13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최종 통과한 것이다.

탄소산업은 철강과 반도체의 부진을 딛고 경북 첨단산업을 새롭게 재편할 핵심 엔진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이번 예타 통과까지 경북도는 그야말로 천신만고를 겪었다.

초기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한 국내 탄소산업의 열악한 현실이 경제성 확보에 발목을 잡았다. 경북도는 탄소섬유 세계 최대 제조업체인 일본 도레이사의 1조3천억원 투자와 기술 이전을 이끌어내 이 문제를 해결했지만, 이번엔 '최순실 게이트'가 터졌다.

최순실 국정 농단의 여파로 대구경북 국가투자예산이 삭감 표적으로 떠오른 가운데 전북 국민의당 의원들이 탄소산업 클러스터 전체 예산(881억원) 중 상대적으로 경북에 쏠린 장비비(140여억원) 부문 불균형을 문제 삼고 나섰다. 전북 예산(20여억원)이 경북(110여억원)의 5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새누리당 경북도당은 "정상적인 예산 심의 과정에 전북 의원들이 딴지를 걸고 있다"고 맞불을 놔 예타 통과가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이 같은 우려는 경북도와 전북도의 대승적 합의로 고비를 넘겼다. 경북과 전북은 70억원 안팎에서 50대 50에 가깝게 장비비 예산을 책정하는데 전격 합의했다. 경북은 감액분 40여억원을 스스로 전북에 증액시켜 주는 등 통 큰 양보를 결정했다.

경북은 탄소산업이 대구경북은 물론, 대한민국을 위한 미래 핵심산업이라는 대전제 아래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경북은 포항 철강과 구미 전자의 성장 한계에 직면하면서 첨단산업 재편이 절실했다.

미래 산업의 쌀로 불리는 탄소는 21세기 제조업의 쌍두마차라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항공기 분야 핵심 부품 등으로 두루 쓰이는 꿈의 소재다. 경북도에 따르면 탄소 등 경량 소재의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75조원에서 오는 2023년엔 475조원까지 급성장할 전망이다.

경북과 전북이 이번 예타 사업에서 내건 목표는 세계적인 탄소산업 클러스터 육성이다. 경북은 중간재~완성품, 전북은 소재~중간재로 차별화해 분업화 시스템을 구축한다. 경북은 1단계로 자동차, IT, 에너지 분야 탄소성형 부품 개발에 중점을 둔다. 구미 국가 5산업단지에 66만1천㎡ 규모의 융복합 탄소성형 부품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상용화인증센터를 구축해 설계부터 시제품 제작, 국내외 인증 등을 종합 지원한다. 오는 2025년 매출 10조원, 혁신기업 육성 100개, 고용 4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북도 정병윤 경제부지사는 "구미 탄소산업 클러스터를 글로벌 탄소 소재 부품 공급 기지로 육성하겠다"며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과 중소 부품 기업의 협업을 통해 성공 모델을 창출하고, 현재 194개의 참여 기업을 300개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