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외국에서는 갤럭시 노트 7(이하 갤노트7)의 충전'통신 제한 업데이트를 실시하고도 정작 국내에서는 이를 실시하지 않아 국내 이용자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가 국내에서도 비슷한 조치를 검토하고 있으나 연내 강행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20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갤노트7 회수율은 85% 안팎에 그친다. 지금껏 시중에 풀린 갤노트7이 약 95만 대라면 최대 14만여 대가 아직 사용되는 셈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갤노트7 회수율을 100%까지 끌어올리고자 배터리 충전율을 0%로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미국 1위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 와이어리스는 지난 15일(현지시간)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삼성이 19일 갤노트7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배포할 예정"이라며 "이 업데이트는 충전을 막아 기기를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안내했다.
이에 따라 먼저 같은 조치를 취한 AT&T, T-모바일, 스프린트를 비롯해 미국 4대 이통사 모두가 가입자 안전을 위해 갤노트7의 사용을 완전히 차단하는 조치를 내리게 됐다.
삼성전자는 앞서 뉴질랜드에서도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갤노트7 사용을 강제 중단했다. 유럽에서는 충전율을 30%로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게다가 갤노트7 구입자 대다수는 반품 절차가 까다로워 휴대폰을 교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10월부터 미국'영국 등에서 현지 택배업체를 통해 갤노트7 소비자들에게 정전기 방지 주머니와 방화 상자, 장갑을 발송하고, 이를 이용해 택배로 반품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지금껏 국내 소비자에게는 이런 교환'반품 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올해 말까지 소비자가 구매한 대리점에 직접 방문, 교환토록 해 대리점 영업시간 중에 방문하기 어려운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삼성전자는 연말 막판 회수율 변동 추이를 지켜본 후 다음 주쯤 이통사들과 구체적인 사용 차단 방식과 교환'환불 기한 연장 여부 등을 협의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국내에서 네트워크 차단이나 배터리 충전율 0% 제한보다는 낮은 10~15% 수준으로 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0월 29일부터 갤노트7 배터리를 최고 60%까지만 충전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 바 있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이용자 보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장치 리콜 가이드라인(안)'을 최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 결함이 발생할 시 제조사가 리콜 또는 이와 관련해 판매 중단을 결정한 후 사흘 내에 리콜 방법과 절차, 보상 방안 등 대책을 마련토록 한다는 내용이다. 미래부와 방통위는 각계 의견을 추가 수렴해 이달 말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