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력 주자 잃은 보수는 당혹…지지층 어디로 가나

주판알 튕기는 대선주자들…문재인, 대선 굳히기, 보수층 결집은 경계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1일 대선 출마 포기가 대선정국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대권주자와 각 진영은 손익 계산기를 두드리며 격변하게 될 대선 흐름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각 진영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반 전 총장의 '양강구도'가 해체되면서 반 전 총장을 지지하던 중도층의 표심 향방을 주목하고 있다.

일단 보수와 진보, 중도 진영의 계산은 제각각이다. 대부분 '득'이 될 것이라 기대하면서도 '실'에 대해선 경계심을 옥죄고 있다.

대선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문 전 대표 진영에선 대세론을 굳힐 절호의 기회가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문 전 대표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30% 이상의 지지율로 독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나마 10% 중반대의 지지를 받아온 반 전 총장이 탈락하고, 10% 초반이나 한 자릿수 지지율을 보이는 다른 주자들과는 격차가 큰 만큼 표심이 자연스럽게 '대세'를 형성한 문 전 대표에게로 집중될 수 있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반 전 총장의 이번 결정이 보수층 결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데에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후발 주자들은 중도층으로의 외연 확장을 자신하면서 이후 지지율 상승을 노릴 수 있다는 데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충청 표심'을 가져갈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된 분위기다. 반 전 총장으로 대변되던 '충청 대망론'을 안 지사가 떠안게 되면서 야권 대선주자들 가운데는 가장 탄탄한 지역적 기반을 갖추게 됐다고 보는 것이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측에서는 반 전 총장이 아닌 안 전 대표가 '중간세력'의 대표주자가 되면서, 문 전 대표의 대항마로 떠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흘러나오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개헌을 외치고 있는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 역시 활동 공간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보수 진영에선 유력한 대권 후보를 잃었다는 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등 보수 후보가 보수'중도층 표심을 집결시킬 기회로 보고 있다.

범여권 후보들은도 어느 정도 '낙수효과'를 누릴 것이라는 전망 속에 바른정당 대권 주자로 나선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 역시 일정 부분 지지율 상승이 가능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