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신라왕경 복원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천년고도 경주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문화의 국격을 높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특별법 제정이 드디어 가시권 안으로 들어왔다.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에 관한 특별법'이 가결 정족수를 넘는 공동 발의자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김석기 새누리당 의원(경북 경주)은 신라왕경 복원 특별법 발의를 위한 국회의원 서명을 163명 받아냈다고 1일 밝혔다. 전체 국회의원 수 300명의 54.3%에 해당하는 숫자다. 공동 발의자 수가 가결 정족수를 넘어섰기 때문에 특별법이 발의돼 상정되기만 하면 국회 통과는 따 놓은 당상인 셈이다.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는 지역 최대 현안 중 하나로 꼽힌다. 신라 왕궁 등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적임에도 불구하고 여태것 체계적 복원'정비가 이뤄지지 않았다. 유적 복원에 대한 마인드가 결여된 탓도 있지만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경주시 등은 2025년까지 9천4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되는 신라왕경 복원 계획을 수립했다. 왕궁인 월성과 황룡사'월정교 복원, 쪽샘지구 발굴'정비 등 모두 8개 부문에 이르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그러나 워낙 대형 프로젝트인지라 지방자치단체의 역량만으로는 추진에 한계가 있었고 안정적 사업비 마련도 불투명했다. 따라서 사업 추진을 위한 법적'제도적 토대 마련을 위한 특별법 제정 목소리가 높았지만 정부의 무관심 속에 진척이 없었다.

이번에 신라왕경 복원 특별법이 160여 명의 공동 발의자를 확보한 데에는 김석기 의원의 역할이 컸다. 당론으로 발의한 법안이 아닌, 개별 의원 법안에 대한 공동 발의자 수로는 역대 최고라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탄핵이라는 정국 혼란 속에서 지역 현안 해결에 적극 나서서 성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신라왕경 복원 특별법 국회 통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잇따른 지진 여파로 가뜩이나 고초를 겪고 있는 경주 시민들에게 모처럼 전해진 낭보가 아닐 수 없다. 늦었지만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사업을 촉진해 경주가 세계 최고의 역사 문화자원 도시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