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정남 암살에 北제재회피도 타격…말레이서 암약 '글로콤' 주목

김정남 피살사건 때문에 그간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를 교묘히 회피해온 북한의 운신이 더 좁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타국 국제공항에서 버젓이 암살을 자행한 데다가 대량 살상무기로 분류된 독가스VX를 사용한 혐의 때문에 우호적 국가들이 등을 돌릴 가능성 때문이다.

실제로 말레이시아에서는 장관들이 이번 사건의 배후가 유력한 북한을 비난하면서 단교까지 제안하고 있다.

27일 AFP통신,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이번 사건이 발생한 말레이는 북한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제재를 회피해 외화벌이를 가장 왕성하게 해 온 곳이다.

말레이와 북한은 양국 국민이 상호 비자 면제 협정에 따라 서로 자유롭게 오갈 정도로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왔다.

이런 관계를 토대로 말레이에는 북한의 여러 산업체가 진출해 국적과 상호를 위장하고 무기 따위를 암거래해왔다.

김정은 암살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북한의 정보기관인 정찰총국(RGB)이 말레이에서 운영하던 '글로콤'이 그 대표적 사례로 지적된다.

대북 제재를 감사하는 유엔의 전문가 패널이 지난 24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실상이 잘 조사돼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7월 북한의 군사용 통신장비가 중국에서 아프리카 에리트레아로 운송되던 중 포착됐다.

이 장비들은 말레이에 있는 업체 글로콤이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글로콤은 북한 정찰총국이 운영하는 '팬 시스템스'라는 업체의 위장회사인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북한이 제3국에 설립한 회사가 국제 무기박람회에 참가하거나 고성능 무기류를 외국에 공급해 국제 인지도를 높이는 사례까지 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실제로 글로콤은 말레이에 개통된 홈페이지를 통해 군사, 준군사 조직을 위한 30여 개의 통신 체계를 판다고 광고해왔다.

이 같은 거래는 2009년 북한의 군사 장비와 모든 관련 물품의 거래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874에 어긋나는 것이다.

북한의 이 같은 암약은 최소한 말레이에서 막을 내릴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

김정남 암살과 대량살상무기 사용 혐의를 계기로 북한과의 단교까지 검토하는 말레이가 비밀 영업을 더 묵인할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사건에 인도네시아, 베트남 여성들이 동원된 혐의도 있어 현재 반북 감정은 말레이를 넘어 동남아시아 전체로 확산하는 기미가 있다.

앞서 지난 21일 태국의 방콕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북한 공작원이 다시 동남아에 분노를 유발했다"며 "김정남 살해는 단순 외교 사안을 초월했다"고 주장했다.

북한과 전통적으로 우호관계를 유지해온 동남아는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무대이기도 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