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희구(1942~ )
아부지 생일밥은 맨자지
형 생일밥은 반자지
내 생일밥은 반반자지
여동생 생일밥은 반에, 반에, 반자지
엄마 생일밥은 꼽삶이 꽁보리밥
(시집 『대구』 오성문화 2015)
*맨자지: 백 퍼센트 하얀 쌀로만 지은 흰 쌀밥. 본래말은 맨잦이일 듯. 밥을 '잦힌다'라는 말이 있는데 보리 같은 곡식은 단단하고 거칠기 때문에 먼저 보리를 한 번 삶은 다음, 밥을 안치지만 쌀은 거칠지 않고 연하기 때문에 맨으로 한 번만 잦힌다고 하여 맨자지라고 한다.
*반자지: 절반은 쌀, 절반은 보리쌀로 지은 밥. 그 시절, 생일날이면 아버지와 형만 나보다 더 하얀 쌀밥을 준다고 하여 필자가 빗대어서 만들어낸 말이다.
*꼽삶이 꽁보리밥: 쌀이 한 톨도 섞이지 않은 순전한 보리밥. '꼽삶이'란 보리쌀을 두 번(곱으로) 삶는다고 하여 생겨난 말이다. 식량 사정이 아주 힘들었던 시절의 우리네 어머니들은 어떠한 경우에도 하얀 맨자지 쌀밥만 먹는 것을 죄악시했다.
옛날 한 가족 간에도 가장(家長)과 아들과, 딸 등, 신분의 차이에 따라 쌀밥, 보리밥 담는 구분이 확연했다. 가부장(家父長) 우선과 남존여비의 봉건사상이 남아있던 시절이었고 여기에서도 우리네 어머니들의 끝없는 헌신이 도드라져 보인다. 참 세월이 좋아졌다. 지금 시절이야 보리밥이야말로 완전히 웰빙 식품이 되었지만 옛날 입에 풀칠하기도 어려웠던 시절에는 엄마가 밥을 풀 때 쯤이면 부뚜막에 걸터앉아 쌀밥 달라고 갖은 투정을 부리곤 하던 것이 어제 같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