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선주자 선거비용 마련 골머리…당내 대선후보 기탁금 억대 훌쩍

본경선 오르면 기하급수적 늘어

일부 주자들이 대선 레이스 도중 중도 하차하는 요인 중 하나로 선거비용이 꼽히면서 각 정당 대선주자들은 선거운동 못지않게 선거비용 마련에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의 불출마 이유 가운데 하나도 선거비용 문제가 꼽힐 정도로 대선 예비후보들이 감당해야 할 돈은 상상 이상이다.

우선 당내 대선후보 기탁금 해결이 시급한 문제이다.

18일 63빌딩에서 1차 예비경선을 치른 자유한국당의 경우 신용한'김진'조경태 예비후보는 6명을 뽑는 이날 경선에서 탈락하면서 기탁금 1억원을 고스란히 날렸다.

이날 1차 컷오프를 통과한 김진태 국회의원은 "1억원을 공탁한 예비후보들의 오늘 연설이 15분이므로, 1분당 700만원짜리 연설을 하고 있다"고 했다.

국민의당도 예비후보 연설을 위해 고액을 투자해야만 했다. 17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경선 컷오프 결과 3명이 탈락했는데, 이들 모두 기탁금 5천만원을 정견 발표 5분에 지불한 셈이 됐다.

1차 컷오프에 통과하더라도 지불해야 할 비용은 더 늘어난다. 본경선에 오르는 후보들의 기탁금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예비경선과 본경선을 합쳐 총 4억원의 기탁금을 내야 한다.

한국당도 일부 후보자들의 요구를 수용해 조금 내렸다고는 하지만 본경선 후보자들은 2억원을 준비해야 하고, 국민의당도 본경선 기탁금이 무려 3억5천만원이다. 바른정당도 2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경선에서 탈락한 후보들은 수 억원을 지불하고 빈손으로 대선 레이스에서 발길을 돌려야 한다.

천신만고 끝에 각 당의 최종 후보로 선정되더라도 돈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완주하는 후보는 최대 509억원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결과에 따라 전액 보전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득표율 15% 미만은 절반만 보전받을 수 있고, 10% 미만은 한 푼도 건질 수 없다. 특히 후보자 본인이나 보좌진 개별 차량이나 사무실 경비 등은 보전받을 수 없어 후보자의 사비가 투입되지 않을 수 없는 구조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