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300만 영남인들의 식수원인 낙동강이 중금속 오염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최상류에 있는 제련소에서 중금속이 나와 토양과 낙동강을 오염시킨다는 의혹이 잇따라 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뒷짐을 지고 있다.
세계 물의 날인 22일 안동시청에서는 주목할 만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 자리에 선 사람들은 안동시'봉화군'구미시'대구시'부산시'태백시의회 의원 등 11명이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낙동강 식수원 보호를 위해 영풍석포제련소를 폐쇄하라고 촉구했다.
영풍석포제련소가 낙동강 중금속 오염 논란의 중심이 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1970년에 준공된 이 제련소는 안동호 80㎞ 상류에 위치해 있다. 아연 등의 제련 과정에서 이곳에서는 각종 유해물질이 발생한다. 그래서 2014년 낙동강 물고기 떼죽음 사건과 제련소와의 연관성을 의심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환경단체 조사 결과 제련소 주변 6곳의 토양에서는 심각한 수준의 카드뮴이 검출된 바 있다. 카드뮴은 일본에서 이타이이타이병으로 128명의 사망자를 낸 중금속이다.
이에 대해 제련소 측은 자신들이 물고기 폐사의 원인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혀진 바 없으며 퇴적물에 쌓인 중금속도 과거 봉화지역 폐광산에서 흘러든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실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제련소 주변 토양에 축적된 중금속이 빗물에 씻겨 낙동강에 유입되고 있다는 우려는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안동호와 낙동강 상류에서 잡힌 물고기가 시장에서 냉대를 받고 있을 정도다.
정작 정부 차원의 본격 조사는 감감무소식이다. 지난해 환경부는 낙동강에 서식하는 어류에 카드뮴 등 중금속이 타 수계보다 높지만 낙동강의 수질 및 생태계는 양호하다는 이상한 발표를 내놓기도 했다. 오히려 정부는 경북도와 봉화군에 일을 떠넘긴다는 인상마저 주고 있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고 했다. 정부는 낙동강 수계가 중금속에 노출돼 있다는 경고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체계적인 조사부터 서둘러 실시하고 중금속 오염원 차단 및 낙동강 유입 방지, 제련소 이전 등 종합적이고도 다각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